한국광기술원, 고정밀 자동 채혈 로봇 개발…"근적외선 이용"
입력
수정
한국광기술원은 근적외선을 기반으로 한 고정밀 자동 채혈(採血) 로봇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인구 고령화로 정기적인 채혈이 필요한 만성 질환자가 늘고 각종 감염병 확산으로 진단용 채혈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서 채혈의 효율성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채혈 로봇은 피부는 투과하고 혈액에는 흡수되는 근적외선의 특성을 이용해 혈관을 손쉽게 찾는다.
이후 좌우 앞뒤 등 5축으로 움직이는 고정밀 로봇이 채혈침(바늘)을 이용, 피를 뽑아내고 전용 튜브에 정량을 담게 된다.
바늘이 혈관 속으로 제대로 들어갔는지 압력 센서가 작용해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채혈 로봇은 혈관과 채혈 바늘의 깊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 근적외선과 함께 고가의 초음파 장비를 활용했지만, 이번 로봇에는 초음파 장비 없이도 모든 시술이 가능하다.
이 로봇은 공인 인증기관의 성능 검사를 마쳤으며 전용 진공 채혈관 개발과 함께 상용화를 위한 보완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광기술원은 설명했다.
애초 이 로봇은 코로나19에 대응해 비대면 채혈작업을 위해 개발에 착수했는데 일선 의료 현장에서 상용화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로봇이 채혈하는 과정에서 간호사 등 보조 인력이 채혈 여부를 최종 지시·조작해야 하는 등 인력 감축의 효과는 사실상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채혈 로봇은 코로나19 방역 물품과 기술 개발사업의 하나로 진행했으며 두원메디텍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이 공동 참여했다. 한국광기술원 광ICT융합연구본부 광바이오헬스연구센터 신인희 박사는 "근적외선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혈관 찾기가 어려운 소아나 노약자 등의 환자에게는 효과가 크며 후속 보완작업을 거쳐 채혈 및 검체 자동화 진단 장비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후 좌우 앞뒤 등 5축으로 움직이는 고정밀 로봇이 채혈침(바늘)을 이용, 피를 뽑아내고 전용 튜브에 정량을 담게 된다.
바늘이 혈관 속으로 제대로 들어갔는지 압력 센서가 작용해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채혈 로봇은 혈관과 채혈 바늘의 깊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 근적외선과 함께 고가의 초음파 장비를 활용했지만, 이번 로봇에는 초음파 장비 없이도 모든 시술이 가능하다.
이 로봇은 공인 인증기관의 성능 검사를 마쳤으며 전용 진공 채혈관 개발과 함께 상용화를 위한 보완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광기술원은 설명했다.
애초 이 로봇은 코로나19에 대응해 비대면 채혈작업을 위해 개발에 착수했는데 일선 의료 현장에서 상용화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로봇이 채혈하는 과정에서 간호사 등 보조 인력이 채혈 여부를 최종 지시·조작해야 하는 등 인력 감축의 효과는 사실상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채혈 로봇은 코로나19 방역 물품과 기술 개발사업의 하나로 진행했으며 두원메디텍과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이 공동 참여했다. 한국광기술원 광ICT융합연구본부 광바이오헬스연구센터 신인희 박사는 "근적외선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혈관 찾기가 어려운 소아나 노약자 등의 환자에게는 효과가 크며 후속 보완작업을 거쳐 채혈 및 검체 자동화 진단 장비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