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오디오와 와인, 숙성의 미덕

와인의 맛, 시간과 자연이 좌우
오디오도 세월의 더께 더해져야

이장호 오디오 평론가
요즘 와인을 즐겨 마신다. 예전엔 소주 아니면 맥주였고 위스키는 가끔 마셨다. 최근엔 와인이 당기는데 그 이유는 나도 모른다. 대충 가늠해보면 나이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맥주는 배가 부르다. 따라서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더부룩해 기분이 나쁜 경우가 종종 있다. 배는 부른데 취기가 올라오면 기분 좋아지라고 마신 술 때문에 오히려 기분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소주는 마시긴 하지만 이건 좀 사람 심성을 거칠고 공격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청음실에 이러면 안 되는 걸 알지만 작은 와인 셀러를 하나 구비했다. 여덟 병 정도 들어가는 국민 와인 셀러다. 아는 와인숍에 주문해 넣어두고 가끔 지인들이 오면 대형 스크린으로 유튜브 음악 영상을 틀어놓고 마신다. 물론 자주 마시면 곤란하다. 안 그래도 청음실이자 일하는 곳인데 자주 이러면 오늘 일을 내일로, 내일 일을 모레로 미루게 된다.내가 와인에 관심이 많은 걸 아는 지인이 최근엔 어디를 함께 가자고 했다. 다름 아니라 와인 시음회였다. 단순 시음하고 노는 건 아니고 간단한 스터디도 있다고 했다. 무엇이든 공부해서 알고 경험하는 건 음악이나 오디오나 마찬가지로 훨씬 더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그런데 가보니 강의를 꽤 오래 한다. 시음하는 와인은 미국 나파밸리 지역에서 재배한 포도로 그곳 와이너리가 생산한다고 한다. 브랜드 이름은 프로몬토리. ‘잃어버린 붉은 그림자’, 나파밸리 화재에서 살아 돌아온 바로 그 컬트 와인이다.

강의 중에 스태프가 돌아다니며 2017년, 2018년, 2019년산 세 종류 와인을 한 잔씩 따라주는데, 연도만 다르지 동일한 와이너리에서 생산한 와인들이다. 재밌는 건 꼭 오래된 것이 좋은 것도, 가장 최근 생산된 와인이 좋은 것도 아니다. 내가 맛보기엔 2018년산이 가장 좋았던 듯하다. 왜 그럴까? 의문이 들지만 이건 와이너리 대표도 모를 일일 것이다. 자신들이 가공했지만 결국 자연이 그렇게 만들었으니까. 결국 여러 조건이 변화무쌍하게 서로 엮여서 이뤄낸 게 아닐까. 어차피 소진되고 나면 모두 잊힐 것들이지만 소멸하는 게 아쉬울 뿐이다.

오디오도 마찬가지다. 과거 한 시대를 풍미하고 사라지는 것들이 아쉬울 때가 많다. 최신형이 무조건 좋다는 것은 다 거짓말이다. 물론 디지털 소스 기기는 요즘 제품이 좋지만, 과거에 만들어진 아날로그 기기나 패시브 스피커도 여전히 믿을 수 없을 만큼 좋은 소리를 낸다. 물론 보관 상태가 좋다는 전제가 있다.오디오와 와인을 정말 공정하게 동일선상에서 놓고 비교하는 건 난센스다. 그뿐만 아니라 1년 정도의 숙성 차이를 두고 있는 와인과 수십 년 차이를 두고 벌어지는 기술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전쟁터 오디오와는 분명 다른 면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디오나 와인이나 꼭 최신형이 좋으란 법은 없다. 무릇 적당히 오래돼 사람과 오디오 사이에 간극이 좁아지고 친근해지며 세월의 먼지와 더께가 얹혔을 때 오디오는 음향이 아니라 음악을 들려준다.

많은 사람이 에이징의 차이를 믿지 않고 또 수많은 사람이 에이징의 차이를 믿고 있지만 나는 후자다. 적당히 익은 우퍼와 적당히 익은 케이블을 좋아한다. 박스를 개봉해 헤드셀에 장착하고 처음 들은 소리보다는 한 달 후에 들어본 카트리지가 경험상 더 좋은 소리를 낸다. 모두 상승 곡선을 타다가 어느 때부터인가 내리막길을 간다는 면에선 와인이나 오디오나 인간이나 비슷하다. 한 잔의 술과 오디오에서도 인생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