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넘어 말레이시아까지…루앙화산 분화, 2100명 이상 대피
입력
수정
'최고 수준' 화산 경보가 발령된 인도네시아 루앙 화산이 며칠째 분화를 이어가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안타라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루앙섬에 있는 루앙 화산은 지난 16일 오전부터 조금씩 분화를 시작하더니 지난 17일 밤 크게 폭발했다. 이후 이날까지 크고 작은 분화들이 계속되면서 하늘로 화산재를 뿜어내고 있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19일 오후 이후 최소 3번의 화산 폭발이 기록됐으며, 폭발 기둥의 최대 높이는 1200m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폭발로 루앙 화산에서 100㎞ 넘게 떨어진 북술라웨시주 주도 마나도 국제공항이 지난 19일까지 폐쇄됐고, 인근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에서도 일부 노선이 화산재의 영향을 받아 항공기가 취소됐다. 지역 공항당국 책임자는 "우리는 여전히 루앙 화산의 분화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비행 안전, 보안 및 편의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BNPB)은 분화구 중심으로 반경 6㎞ 이내 지역 내 접근 금지령을 발령했고, 루앙섬을 비롯해 인근 주민 1만1000여명에게 대피령을 내린 상태다. 이중 2100명 이상의 사람들이 화산재 확산과 낙석, 뜨거운 화산 구름, 쓰나미 가능성 때문에 전날부터 대피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인도네시아 교통부의 성명에 따르면 기상기후지구물리청의 위성사진에서 화산재가 서쪽, 북서쪽, 북동쪽, 남동쪽으로 퍼져 마나도, 북미나하사를 뒤덮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현지 당국은 분화 피해 지역에 위치한 집을 떠나라는 지시를 이행하지 않는 주민들을 직접 찾아 수색하고, 화산재로 인한 호흡기 문제를 우려해 주민들에게 마스크를 나눠주며 주민들을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당국자들은 1871년 화산 폭발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화산의 일부가 바다로 흘러들어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2018년에도 순다해협에 있는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폭발하면서 전체 화산의 70% 정도가 무너져 내렸고, 이 영향으로 쓰나미가 발생해 400여명이 사망했다.
한편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는 인도네시아에는 400개가 넘는 화산이 있다. 이 중 활화산은 120여개이며 65개는 위험 화산으로 분류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20일(현지시간) 안타라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루앙섬에 있는 루앙 화산은 지난 16일 오전부터 조금씩 분화를 시작하더니 지난 17일 밤 크게 폭발했다. 이후 이날까지 크고 작은 분화들이 계속되면서 하늘로 화산재를 뿜어내고 있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19일 오후 이후 최소 3번의 화산 폭발이 기록됐으며, 폭발 기둥의 최대 높이는 1200m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폭발로 루앙 화산에서 100㎞ 넘게 떨어진 북술라웨시주 주도 마나도 국제공항이 지난 19일까지 폐쇄됐고, 인근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에서도 일부 노선이 화산재의 영향을 받아 항공기가 취소됐다. 지역 공항당국 책임자는 "우리는 여전히 루앙 화산의 분화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비행 안전, 보안 및 편의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국가재난방지청(BNPB)은 분화구 중심으로 반경 6㎞ 이내 지역 내 접근 금지령을 발령했고, 루앙섬을 비롯해 인근 주민 1만1000여명에게 대피령을 내린 상태다. 이중 2100명 이상의 사람들이 화산재 확산과 낙석, 뜨거운 화산 구름, 쓰나미 가능성 때문에 전날부터 대피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인도네시아 교통부의 성명에 따르면 기상기후지구물리청의 위성사진에서 화산재가 서쪽, 북서쪽, 북동쪽, 남동쪽으로 퍼져 마나도, 북미나하사를 뒤덮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현지 당국은 분화 피해 지역에 위치한 집을 떠나라는 지시를 이행하지 않는 주민들을 직접 찾아 수색하고, 화산재로 인한 호흡기 문제를 우려해 주민들에게 마스크를 나눠주며 주민들을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당국자들은 1871년 화산 폭발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화산의 일부가 바다로 흘러들어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2018년에도 순다해협에 있는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폭발하면서 전체 화산의 70% 정도가 무너져 내렸고, 이 영향으로 쓰나미가 발생해 400여명이 사망했다.
한편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는 인도네시아에는 400개가 넘는 화산이 있다. 이 중 활화산은 120여개이며 65개는 위험 화산으로 분류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