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엔 전국이 '아트 영향권'…서울·부산·광주 잇는 '미술축제' 열린다

‘2024년 대한민국 미술축제’ 추진 공동선언문 발표
키아프-프리즈 서울 관람객, 부산·광주 비엔날레까지 연결
비엔날레 통합입장권 판매, 방한 관광상품 개발 나서기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2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2024년 대한민국 미술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공동선언문 발표 행사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키아프 서울)와 프리즈 서울이 열리는 9월이 되면 서울은 국내외 미술애호가와 ‘큰 손’ 컬렉터가 찾는 ‘아시아 아트허브’로 탈바꿈한다. 이에 정부가 국내 미술계, 지자체와 손을 잡고 이 기간 서울에 쏠린 관심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부산비엔날레와 광주비엔날레 등 K-아트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굵직한 예술행사와 연결해 전국구 미술축제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2일 오후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강기정 광주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김상한 서울1부시장 직무대리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대한민국 미술축제’ 추진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선언문에는 광주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 한국화랑협회, 프리즈 서울,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관광공사, 한국철도공사, 인천공항공사 등이 참여해 한국 대표 미술행사를 마련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유 장관은 “전국에서 일어나는 많은 미술축제를 한 울타리에서 함께 해보자는 뜻에서 모이게 됐다”면서 “외국에서 서울에 오시는 분들이 키아프를 방문했다가 광주와 부산까지 갈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보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미술축제는 9월을 전후해 서울과 부산, 광주에서 열리는 다양한 미술행사를 통합 홍보하는 이벤트다. 2022년부터 열리고 있는 키아프·프리즈 서울 아트페어에 연간 8만여 명이 방문하는 등 서울이 아시아 대표 미술도시로 자리매김한 것을 발판 삼아 국내외 미술애호가들이 보다 폭넓게 한국미술을 경험하게 돕자는 취지다. 지난해까지는 ‘대한민국 미술주간’을 통해 지자체와 공공·민간이 각자 운영했던 미술행사를 기계적으로 묶어 홍보하는 데 그쳤다면, 올해는 전국 미술기관의 콘텐츠를 짜임새 있게 결합해 미술시장 전반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계획했단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22일 오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2024년 대한민국 미술축제 추진 공동선언문 발표 행사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과 박형준 부산시장(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강기정 광주시장(앞줄 오른쪽에서 네번째) 등 참석자들이 성공적인 행사 개최를 다짐하는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
구체적으로 부산비엔날레(8월 17일~10월 20일)와 광주비엔날레(9월 7일~12월 1일)를 잇는 통합입장권을 정액 대비 30% 할인해 판매한다. 이 입장권을 구매하면 예술의전당, 전남도립미술관, 리움 등 주요 국·공·사립 미술관의 유료 전시를 할인 받거나 무료입장 혜택도 받을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9월 4일부터 개막하는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전’을 야간 개장하고, 키아프와 프리즈 서울 기간에 진행되는 파티인 ‘삼청나이트’ 등에 맞춰 국내외 미술인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키아프와 프리즈 기간 동안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이들의 평균 지출경비도 높아지는 만큼, 서울을 거쳐 부산과 광주까지 여행하는 관광시장 낙수효과도 노린다. 한국철도공사는 비엔날레 입장권 연계 고속철도(KTX) 관광상품을 판매하고, 한국관광공사는 지역 미술인프라를 활용한 도보여행부터 럭셔리 관광까지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관광공사 해외지사를 통해 미국, 중국, 대만, UAE 등 시장 특화 상품을 개발 중”이라고 했다.

다만 미술계 일각에선 전시 할인 혜택 등을 제외하면 작년 미술주간과 큰 차이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작 서울과 지역을 잇겠다면서 핵심 행사인 키아프·프리즈와 부산·광주 비엔날레 통합 입장권이 없는 점도 아쉽단 반응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키아프와 프리즈는 민간행사라 통합입장권에 대해선 수익 배분 문제 등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