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히텐슈타인으로 엿보는 美 팝아트와 獨 바우하우스의 조우
입력
수정
[arte] 전유신의 벨 에포크
로이 리히텐슈타인 ‘바우하우스 계단’

벽화는 벽에 직접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우하우스 계단 벽화’는 캔버스에 그린 뒤 벽에 거는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이 벽화는 2023년 리히텐슈타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뉴욕의 가고시안 갤러리가 개최한 전시에서 재공개되었는데, 압도적인 작품의 크기 때문에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바우하우스는 1919년 건축가이자 산업 디자이너였던 발터 그로피우스가 주축이 되어 독일의 바이마르에 설립한 조형예술학교였다. 건축을 중심으로 회화, 조각, 공예 등 모든 예술을 종합하고자 했고, 특히 순수미술과 응용미술,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중시했다. 학생들은 기초조형 연습을 시작으로 토목, 조각, 금속, 도자, 벽화, 직물 등의 다양한 분야를 학습한 뒤 최종적으로 건축을 배웠다.
기초조형 수업을 위해 바우하우스는 바실리 칸딘스키나 파울 클레, 요하네스 이텐 같은 유명 화가들을 교수로 채용했다. 초대 교장이었던 건축가 그로피우스 이외에 마지막 교장이었던 미스 반 데어 로에 같은 유명 건축가들이 학생들에게 건축을 지도했다.
슐레머의 작품은 현대 건축사에서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하는 사례로 손꼽히는 이 바우하우스 건물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격자로 구획된 벽과 창, 사선으로 배치된 계단이 있는 기하학적인 건축 구조를 배경으로 무용수처럼 가볍게 계단을 오르는 인물들이 배치된 이 작품은 슐레머가 인체의 움직임과 건축의 추상적 조형 사이의 조화와 대비를 실험한 결과이다.
바우하우스의 교육 이상과 커리큘럼, 그리고 슐레머를 비롯한 바우하우스 교수들의 실험적인 작품은 여전히 우리 시대의 미술 교육이나 작가들의 작업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실험적인 교육 방식은 나치 집권 이후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결국 1933년 학교의 폐교로 이어졌다. ‘바우하우스 계단’은 학교 폐교 1년 전에 그려져 그해에 열린 슐레머의 회고전에 출품되었으나, 나치의 압력으로 전시가 폐쇄되는 일을 겪었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뉴욕 현대미술관 측이 1933년 ‘바우하우스 계단’의 구입을 결정했다.슐레머의 작품만 미국으로 거처를 옮긴 것이 아니라, 바우하우스의 교수진들 중 상당수도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로피우스가 하버드대 건축과로, 반 데어 로에가 일리노이대학 건축과로 각각 자리를 옮긴 것이 대표적이다. 유럽의 미술가와 건축가들이 나치의 박해와 제2차 세계대전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은 그곳의 젊은 예술가들이었다. 1950년대 이후 추상표현주의와 팝아트와 같은 미국적 현대미술을 만들어낸 젊은 작가들이 국제 미술계에서 약진을 거듭할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미국으로 이주한 유럽 예술가들의 영향이었다.
리히텐슈타인도 이와 같은 배경에서 성장한 대표적인 미국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1960년대 이후로 만화와 광고 이미지의 부분을 확대한 뒤 인쇄물의 망점을 연상케 하는 점들로 이를 뒤덮고 원색의 강력한 색채를 더한 팝아트 작품을 제작하면서 화가로서의 활동을 본격화했다. 서양미술사를 대표하는 명화, 즉 유럽의 미술을 재해석한 작품을 제작하는 것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다.
특히 1970년대 말에는 독일 표현주의 미술에 심취했는데, 그러한 이력이 이후 바우하우스와 슐레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리히텐슈타인이 특히 슐레머에 관심을 갖게 된 접점 중 하나는 벽화였다. 슐레머는 바우하우스에서 벽화를 지도하면서 그 자신도 여러 점의 벽화를 제작한 바 있었고, 리히텐슈타인도 ‘바우하우스 계단 벽화’ 전후로 여러 점의 벽화를 제작한 이력이 있었다.
리히텐슈타인은 슐레머의 ‘바우하우스 계단’과 ‘삼부작 발레’를 종합해 자신만의 팝아트 벽화를 제작하고자 했다. 이로 인해 ‘바우하우스 계단’과 ‘바우하우스 계단 벽화’는 바우하우스와 팝아트, 유럽의 모더니즘 미술과 전후 미국의 현대미술이 조우하는 장이 될 수 있었다.
전유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