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노조' 금호타이어 사무직 노조, 첫 단협 체결…대기업 최초
입력
수정

금호타이어 사무노조는 지난 2022년 11월 중앙노동위원회에서 대기업 제조업 기반 사무직 노조로는 처음으로 '교섭단위 분리'를 인정받은 바 있다. 현행 노조법에서는 같은 회사에 여러 노조가 있는 경우 교섭권은 한 노조만 인정된다. 다만 근로조건이 다른 노조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드물게 '분리 교섭'을 인정해주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중앙노동위원회의 교섭분리 결정에 불복해 가처분 신청과 교섭분리결정 취소소송 등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법원에서 패소하면서 결국 사무 노조는 1년 4개월만에 단체교섭 체결이라는 성과를 눈앞에 두게 됐다.
노사는 지난해 1월 첫 상견례를 시작으로 약 30여 차례 이상 교섭을 진행한 결과 △임금체계 개편 △임금피크제 적용기간·감액률 조정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실시 등에 잠정 합의했다.
노사는 먼저 정기 상여금을 기본급에 산입키로 했다. 회사 입장에서는 통상임금 소송 등 법적 분쟁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했고 노조도 임금 인상 효과를 누리게 됐다. 아울러 정년 이전 5년간 적용되던 임금피크제를 3년으로 단축하고, 임금 감액률도 축소했다. 5년간 10%씩 감액되면서 5년간 기존 연봉의 총 350%를 지급받던 사무직 근로자들은 앞으로는 3년간 총 210%의 임금을 적용받게 된다. 5년 기준으로 환산 시 총 60% 임금이 증가한 셈이라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또 노조사무실과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 등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사무 노조는 또 임단협 교섭과는 별개로 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통해 노사 각 3명이 분기별로 만나 노사 현안을 논의하고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김한엽 노조 위원장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앞으로 노사 신뢰를 바탕으로 회사와 상생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