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 점프' 위해 내년 양자 R&D 예산 올해 2배 이상으로
입력
수정
양자 9대 중점기술 육성 추진 전략 '퀀텀 이니셔티브' 확정
양자연구 역량 갖춘 대학 중심 양자연구허브 구축…2곳 우선 검토 정부가 선도국보다 뒤처져 있지만 아직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아 기회가 열려 있는 양자 기술 분야 도약을 위해 내년 양자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대비 2배 이상 늘리는 등 초기 집중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서울과 대전 등 양자 기술 보유 연구기관이 모인 곳에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위한 양자 연구 허브를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25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이런 내용의 '퀀텀 이니셔티브'를 확정했다.
이니셔티브에 따르면 우선 우리의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토대로 양자 선도국을 빠르게 추격하기 위해 양자 프로세서, 양자 알고리즘·소프트웨어, 양자 네트워크, 양자 센싱 등 이른바 '퀀텀 코어' 기술의 역량을 강화한다. 또 반도체와 제조 역량을 활용해 양자 소재·부품·장비, 양자 소자·공정 기술, 디지털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 등은 세계를 선도할 '퀀텀 엔지니어링' 기술로 키워 나간다.
미래 양자 산업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분야로는 국방 안보, 첨단 제조, 바이오, 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양자 킬러 애플리케이션'과 양자를 활용하는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런 9대 중점기술 육성을 위해 내년 정부 양자 기술 예산을 올해 1천285억원 대비 2배 이상 확대하는 등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소규모 R&D 사업을 프로그램 구조로 개편해 투자 유연성과 안정성을 갖추기로 했다. 빠른 기술 추격이 필요한 분야는 임무 지향형 R&D를 하고, 주도적 기술 방식이 정해지지 않은 양자 분야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기술 방식을 촘촘히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인력 면에서는 양자대학원과 해외 파견을 통해 핵심 인력을 양성하면서 인접 학문 분야의 인력을 유입시켜 양자 융합인재와 엔지니어를 키운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또 양자 과학기술 역량을 보유한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이 참여하는 개방형 연구거점을 구축해 인력 저수지 기능과 인프라 집적, 산업계 접근성 강화 등을 맡기기로 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축이 된 '차세대 퀀텀 연구 허브'와 고려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을 묶은 '퀀텀 활용 연구 허브' 등 두 곳 구축을 검토 중이며, 구체적 계획은 6월 말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는 양자 기술의 블록화를 고려해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다자간 연대와 협력체계에도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국내와 해외 대학 간 공동연구, 석박사 및 연구인력 교류를 추진하는 '퀀텀 얼라이언스(QUA)'를 지원해 연구역량도 키우기로 했다.
이외에도 양자 팹과 테스트베드 등 연구 인프라를 늘리면서 산업화와 제도 지원도 강화해 생태계 조성을 가속하기로 했다.
정부는 퀀텀 이니셔티브 지원 거버넌스로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양자전략위원회, 연구계와 산업계 및 정부 간 상시 소통 채널, 주요국과 양자 대화 등을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는 "퀀텀 이니셔티브의 강력한 추진을 통해 2030년까지 양자과학기술 수준을 65% 수준에서 8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양자 핵심 인력을 1천 명 이상 확보하겠다"며 "산학연 협업을 통해 첨단 제조·국방·안보·바이오 및 서비스 분야에서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창출하고 양자 경제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양자연구 역량 갖춘 대학 중심 양자연구허브 구축…2곳 우선 검토 정부가 선도국보다 뒤처져 있지만 아직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아 기회가 열려 있는 양자 기술 분야 도약을 위해 내년 양자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대비 2배 이상 늘리는 등 초기 집중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서울과 대전 등 양자 기술 보유 연구기관이 모인 곳에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위한 양자 연구 허브를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25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심의·의결을 거쳐 이런 내용의 '퀀텀 이니셔티브'를 확정했다.
이니셔티브에 따르면 우선 우리의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토대로 양자 선도국을 빠르게 추격하기 위해 양자 프로세서, 양자 알고리즘·소프트웨어, 양자 네트워크, 양자 센싱 등 이른바 '퀀텀 코어' 기술의 역량을 강화한다. 또 반도체와 제조 역량을 활용해 양자 소재·부품·장비, 양자 소자·공정 기술, 디지털 양자 하이브리드 기술 등은 세계를 선도할 '퀀텀 엔지니어링' 기술로 키워 나간다.
미래 양자 산업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분야로는 국방 안보, 첨단 제조, 바이오, 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양자 킬러 애플리케이션'과 양자를 활용하는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런 9대 중점기술 육성을 위해 내년 정부 양자 기술 예산을 올해 1천285억원 대비 2배 이상 확대하는 등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소규모 R&D 사업을 프로그램 구조로 개편해 투자 유연성과 안정성을 갖추기로 했다. 빠른 기술 추격이 필요한 분야는 임무 지향형 R&D를 하고, 주도적 기술 방식이 정해지지 않은 양자 분야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기술 방식을 촘촘히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인력 면에서는 양자대학원과 해외 파견을 통해 핵심 인력을 양성하면서 인접 학문 분야의 인력을 유입시켜 양자 융합인재와 엔지니어를 키운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또 양자 과학기술 역량을 보유한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학이 참여하는 개방형 연구거점을 구축해 인력 저수지 기능과 인프라 집적, 산업계 접근성 강화 등을 맡기기로 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축이 된 '차세대 퀀텀 연구 허브'와 고려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을 묶은 '퀀텀 활용 연구 허브' 등 두 곳 구축을 검토 중이며, 구체적 계획은 6월 말 발표하기로 했다.
정부는 양자 기술의 블록화를 고려해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다자간 연대와 협력체계에도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국내와 해외 대학 간 공동연구, 석박사 및 연구인력 교류를 추진하는 '퀀텀 얼라이언스(QUA)'를 지원해 연구역량도 키우기로 했다.
이외에도 양자 팹과 테스트베드 등 연구 인프라를 늘리면서 산업화와 제도 지원도 강화해 생태계 조성을 가속하기로 했다.
정부는 퀀텀 이니셔티브 지원 거버넌스로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양자전략위원회, 연구계와 산업계 및 정부 간 상시 소통 채널, 주요국과 양자 대화 등을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는 "퀀텀 이니셔티브의 강력한 추진을 통해 2030년까지 양자과학기술 수준을 65% 수준에서 8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양자 핵심 인력을 1천 명 이상 확보하겠다"며 "산학연 협업을 통해 첨단 제조·국방·안보·바이오 및 서비스 분야에서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창출하고 양자 경제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