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더 나아지길 꿈꾼다"는 83세의 바이올린 거장 제이미 라레도
입력
수정
바이올리니스트 제이미 라레도 단독 인터뷰“1920년대에 예후디 메뉴인이 있었고, 1930년대에 아이작 스턴이 있었다. 그리고 지난 밤 (그 자리에) 제이미 라레도가 있었다.” 미국 일간지 샌프란시스코 이그재미너가 1952년 11살의 나이로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면서 국제무대에 데뷔한 바이올리니스트 라레도(83)를 향해 남긴 찬사다. 저명한 클래식 전문가들이 ‘바이올린계 대부’의 후예로 라레도를 점찍은 건 섣부른 호들갑이 아니었다. 17세가 되던 해 라레도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대회 역사상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우면서 돌풍을 일으켰다.
글렌 굴드·아이작 스턴 등과 명반 남긴 주역
‘에스프레시보! 피아노 콰르텟’ 첫 내한 공연
“브람스, 멘델스존 감정 더 생생하게 전할 것”
천부적 재능에 노력까지 겸비…“기본기 연습 매달려”
“나이 들키고 싶지 않아…아직도 배가 고파”
그가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 첼리스트 파블로 카살스, 바이올리니스트 아이작 스턴 같은 전설적인 음악가들과 남긴 연주는 ‘세기의 명연(名演)’으로 지금까지 회자된다. 이 시대 최고의 바이올린 거장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라레도가 한국을 찾았다. 올해 19회를 맞은 서울 스프링 실내악 축제 무대에 오르기 위해서다. ‘에스프레시보! 피아노 콰르텟’의 첫 내한 공연(4월 30일)과 기획 공연(5월 1~3일) 등에서 연주를 들려준다. 라레도는 지난 26일 서울 인사동의 한 호텔에서 진행한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자신을 “운 좋은 바이올리니스트”라고 소개했다.“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게 불과 10대 때 일이었어요. 생전 처음 해보는 작품으로 뉴욕 필하모닉, 런던 심포니 등 명문 악단들과 협연해야 하는 상황도 있었고, 1년에 100번 넘는 공연 일정을 소화하느라 숨도 제대로 못 쉴 만큼 힘든 순간들도 많았습니다. 슬럼프도 몇 번 있었지만, ‘연주자로 꼭 살아남겠다’는 일념으로 버텼습니다. 제 삶에선 바이올리니스트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었거든요. 바이올린을 잡는 것만이 나의 존재 이유라고 생각할 만큼, 이 작은 악기를 온 마음 다해 사랑했습니다. 연주를 평생 할 수 있는 것, 그 하나만으로도 전 제게 최고의 행운이 따랐다고 생각합니다.”
라레도는 아내인 첼리스트 샤론 로빈슨, 피아니스트 조셉 칼리히슈타인과 45년간 ‘KLR 트리오’로 활동해온 실내악의 대가로도 유명하다. 칼리히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뒤 피아니스트 안나 폴론스키, 비올리스트 밀레나 파자로반 드 슈타트와 함께 새로운 앙상블인 ‘에스프레시보! 피아노 콰르텟’을 창단해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들이 첫 내한 공연에서 들려줄 작품은 멘델스존, 브람스(3번), 드보르자크(2번) 피아노 4중주곡. “오케스트라에선 연주자들이 지휘자를 통해 음악을 만들어내지만, 실내악에선 연주자 한 명 한 명이 직접적으로 교감하면서 더 섬세하게 작곡가의 언어를 풀어낼 수 있죠. 브람스의 인간적인 면모, 멘델스존의 신선한 영감 등 작품에 담긴 심상, 감정을 더 생생하게 전하고 싶습니다.”다섯 살 때 바이올린을 시작해 여덟 살 때 첫 독주회를 연 인물인 만큼 전형적인 ‘천재 바이올리니스트’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의 음악은 노력의 산물이다. 라레도는 하루도 빠짐없이 기본기 연습인 ‘장단조 스케일(음계)’을 1시간 넘게 하고 나서야, 연주곡 연습에 돌입한다. 웬만한 20~30대 연주자들도 귀찮다는 이유로 빼먹기 일쑤인 기본기 연습을 70년 넘게 고수해 온 이유는 무엇일까. “무대에서만큼은 나이를 들키고 싶지 않아요. 제게 손은 ‘연주의 도구’이기에, 감각의 예민함을 유지하기 위한 연습만큼은 절대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습관처럼 몸에 밴 기본기 연습이 지금까지 제 플레이(연주 기량)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켜준 힘이었다고 생각해요."미국 클리블랜드 음대 교수인 그는 힐러리 한, 제니퍼 고 같은 유명 바이올리니스트들을 길러낸 스승으로도 명성이 높다. 그에게 훌륭한 연주자의 조건을 묻자, “자신만의 소리를 가지고 있는 음악가”란 답이 돌아왔다. “요즘 연주자들은 믿기 어려울 정도로 테크닉이 뛰어나지만, 정작 그 너머의 음악적 개성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아요. 하이페츠, 오이스트라흐 같은 옛날 바이올리니스트들은 첫소리만 들어도 누구인지 단번에 알 수 있잖아요. 소리로 남아야 하는 연주자에게 그보다 중요한 건 없죠. 그래서 제자들에겐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산 사람 말고, 죽은 사람의 연주를 자주 들어라’라고 얘기해요. 하하.”여든이 넘은 나이. 남부러울 것 없는 커리어를 쌓으며 거장의 반열에 오른 바이올리니스트지만, 그는 “아직도 배가 고프다”고 했다. “전 지금도 연주자로서 더 나아지는 걸 꿈꿉니다. 매일 바이올린을 더 잘 켜고 싶고, 작곡가의 의도를 더 깊이 분석하고 싶고, 음악가로서 발전하고 싶어요. 음악에 대한 열망은 아마 인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꺼지지 않을 것 같아요. 거창한 목표 따윈 없지만 그저 하나 바랄 수 있다면, 제 연주를 듣고 많은 사람들이 감동하고 그 음악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게 그것보다 더 값진 일은 없을 겁니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