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서 성공 스토리 쓰는 OCI…'3저' 덕에 中 공세 뚫는다
입력
수정
지난 25일 팜나무가 우거진 길을 차로 한 시간 달려 도착한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사말라주 공단은 정글 속 거대한 ‘공사장’이었다. 세계 1위 태양광 업체 룽지가 50만5000㎡ 규모 태양광 모듈 공장이 완공 단계에 있었고 중국 원안철강은 고로 공사를 위한 터파기가 한창이었다.
한국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M도 추가 투자를 진행 중이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공장 증설과 금호피앤비화학과의 에피클로로히드린(ECH) 합작 공장 공사를 위해 포크레인과 덤프트럭이 쉴세 없이 움직이고 있었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공단 1호 입주기업인 OCIM의 성공을 발판삼아 석유화학, 철강 기업의 입주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공장은 일본 대표 화학 기업 도쿠야마의 ‘아픈 손가락’이었다. 2009년부터 2조원을 투입했지만 2013년 완공 후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냈다. 두 개 공장 중 하나만 제대로 돌아간 탓에 전체 가동률이 50%를 조금 웃돌았다. 설비가 고장나 공장을 ‘셧다운’하는 일도 빈번했다.
공장 인수 당시 OCIM은 공장 정상화가 절실했다. 높은 인건비와 하루가 멀다하고 올라가는 전기료 탓에 한국 군산 공장 수익성이 낮아져 해외 시장서 돌파구가 필요했다. OCIM은 도쿠야마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치열한 현지화 전략을 폈다. 한국 직원 120여명이 공장 앞 기숙사에서 1년 반 동안 동거동락하며 공장 설비 전반을 뜯어고쳤다. 군산의 설비를 그대로 떼와 헛점이 많았던 설비 역시 보완했다. 24시간 비상 대기를 통해 공장에 불이 꺼지는 일이 없도록 했다.
OCI의 성공을 지켜본 글로벌 기업들은 이 지역에 잇따라 공장을 짓고 있다. OCIM의 폴리실리콘으로 태양광 모듈을 만드는 롱지가 대표적이다. 기업 입주로 전기 소비가 늘자 사라왁주는 연방 정부 전력회사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 중이다.
OCIM은 말레이시아 진출 성공 요인으로 낮은 전기료를 꼽는다. 이곳의 전기료는 KW당 5.2센트로 한국 산업용 전기 요금의 3분의 1 수준이다. 김동문 공장장은 “전기 소모량이 많은 석유화학과 철강, 태양광 기업이 주로 들어와 있다”며 “낮은 전기료 덕분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차로 세시간 거리에 위치한 수력발전소인 바쿤댐에서 전력이 공급돼 재생 에너지 사용 권장하는 RE100 준수 추세에도 맞아 떨어진다. 낮은 법인세도 비용을 낮추는 요소다. 사라왁주 정부는 도쿠야마 초기 투자 비용 2조원을 10년에 걸쳐 모두 법인세로 감면해주기로 약속했다. 10년 동안 2조원의 영업이익을 냈다면 단 한 푼의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단 얘기다. 여기에 추가 투자를 하면 법인세 감면 기간과 금액이 늘어난다. 말레이시아 현장 인력 월급 역시 일인당 한 달 150만원 수준으로 한국의 절반 이하다.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생산되는 태양광 폴리실리콘의 생산 원가는 한국의 절반 이하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폴리실리콘에 수입 제재를 가하면서 OCIM 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 회장은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 신설 등 사업 영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며 “말레이시아가 중국의 저가 공세를 견딜 수 있는 전초기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사라왁=김우섭 기자
한국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M도 추가 투자를 진행 중이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공장 증설과 금호피앤비화학과의 에피클로로히드린(ECH) 합작 공장 공사를 위해 포크레인과 덤프트럭이 쉴세 없이 움직이고 있었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공단 1호 입주기업인 OCIM의 성공을 발판삼아 석유화학, 철강 기업의 입주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3저’ 경쟁력에 투자 늘어
OCI홀딩스가 말레이시아의 한 시골 마을에서 해외 진출 성공 스토리를 쓰고 있다. 연방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과 한국의 3분의 1 수준인 전기료와 인건비, 낮은 세금을 지렛대 삼아 중국 태양광 업체의 저가 공세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단 평가다. 이날 방문한 폴리실리콘 공장은 OCIM의 메인 사업장이다. 일본 도쿠야마로부터 2017년 2174억원에 인수해 현재 연 3만5000t의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있다. 태양광 모듈로 만들 경우 11.6G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이 공장은 일본 대표 화학 기업 도쿠야마의 ‘아픈 손가락’이었다. 2009년부터 2조원을 투입했지만 2013년 완공 후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냈다. 두 개 공장 중 하나만 제대로 돌아간 탓에 전체 가동률이 50%를 조금 웃돌았다. 설비가 고장나 공장을 ‘셧다운’하는 일도 빈번했다.
공장 인수 당시 OCIM은 공장 정상화가 절실했다. 높은 인건비와 하루가 멀다하고 올라가는 전기료 탓에 한국 군산 공장 수익성이 낮아져 해외 시장서 돌파구가 필요했다. OCIM은 도쿠야마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치열한 현지화 전략을 폈다. 한국 직원 120여명이 공장 앞 기숙사에서 1년 반 동안 동거동락하며 공장 설비 전반을 뜯어고쳤다. 군산의 설비를 그대로 떼와 헛점이 많았던 설비 역시 보완했다. 24시간 비상 대기를 통해 공장에 불이 꺼지는 일이 없도록 했다.
가동률 100%, 생산량 3배 늘어
이런 노력 덕분에 공장은 빠르게 정상화됐다. 인수 당시 1만1000t이었던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3배 이상 늘어난 3만5000t이 됐다. 가동률 역시 100%에 육박한다. 2022년과 지난해 각각 5363억원, 403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OCIM은 8500억원을 투입해 전체 생산량을 5만6000t으로 늘릴 예정이다.OCI의 성공을 지켜본 글로벌 기업들은 이 지역에 잇따라 공장을 짓고 있다. OCIM의 폴리실리콘으로 태양광 모듈을 만드는 롱지가 대표적이다. 기업 입주로 전기 소비가 늘자 사라왁주는 연방 정부 전력회사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 중이다.
OCIM은 말레이시아 진출 성공 요인으로 낮은 전기료를 꼽는다. 이곳의 전기료는 KW당 5.2센트로 한국 산업용 전기 요금의 3분의 1 수준이다. 김동문 공장장은 “전기 소모량이 많은 석유화학과 철강, 태양광 기업이 주로 들어와 있다”며 “낮은 전기료 덕분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차로 세시간 거리에 위치한 수력발전소인 바쿤댐에서 전력이 공급돼 재생 에너지 사용 권장하는 RE100 준수 추세에도 맞아 떨어진다. 낮은 법인세도 비용을 낮추는 요소다. 사라왁주 정부는 도쿠야마 초기 투자 비용 2조원을 10년에 걸쳐 모두 법인세로 감면해주기로 약속했다. 10년 동안 2조원의 영업이익을 냈다면 단 한 푼의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단 얘기다. 여기에 추가 투자를 하면 법인세 감면 기간과 금액이 늘어난다. 말레이시아 현장 인력 월급 역시 일인당 한 달 150만원 수준으로 한국의 절반 이하다.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생산되는 태양광 폴리실리콘의 생산 원가는 한국의 절반 이하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폴리실리콘에 수입 제재를 가하면서 OCIM 제품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 회장은 “반도체용 폴리실리콘 공장 신설 등 사업 영역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며 “말레이시아가 중국의 저가 공세를 견딜 수 있는 전초기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사라왁=김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