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프리즘] "기술 배우자" 중국 가는 韓기업들
입력
수정
지면A23
中 정부 주도 '첨단기술 강자' 돼“중국에 연구개발(R&D)센터를 지을까 검토 중이에요. 기술 개발 속도로 보나, 연구 환경으로 보나 한국보다 훨씬 낫거든요.”
정부·기업 '팀 코리아'로 맞서야
오상헌 산업부장
귀를 의심했다. 얼마 전까지 한국이 세계 최고라고 자랑하던 첨단업종에서, 그것도 첫손에 꼽히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입에서 “중국에 ‘두뇌’를 두겠다”는 말이 나오다니. 한국에 꼭꼭 숨겨둔 기술도 빼가는 중국인데, 본토에 R&D센터를 세우면 기술 유출 가능성이 높아질 게 뻔할 텐데 말이다.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었더니 이런 설명을 들려줬다. “기술 유출 걱정, 별로 안 합니다. 중국이 더 잘하거든요. R&D센터 지으려는 것도 중국 기술을 배우려는 겁니다.”
이 한마디가 한국경제신문이 지난주부터 내보내고 있는 ‘레드테크(중국의 최첨단 기술)의 역습’ 시리즈를 기획한 배경이 됐다. 중국의 첨단기술 수준을 짚어보고, 단기간에 실력을 끌어올린 비결을 찾기 위해 화웨이, 바이두, 텐센트 등 최고 테크기업을 찾았다.
현장을 취재한 기자들의 반응은 비슷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도만 빼면 중국은 한국을 라이벌로 생각조차 안 한다. 중국 기업인들 머릿속엔 온통 미국을 잡는 것만 들어 있더라.”중국의 ‘첨단기술 굴기’는 수치로도 나타난다. 올 들어서만 “2022년 기준 중국의 136개 핵심 기술 수준이 미국 대비 82.6%로 한국(80.1%)을 처음 눌렀다”는 정부 발표가 있었고, “64개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중국이 53개 부문 1위로 미국(11개)을 앞섰다”는 호주전략정책연구소 분석도 나왔다.
이 모든 것의 출발점은 ‘중국 제조 2025’를 발표한 2015년이었다. 정보기술(IT), 로봇, 항공우주 등 10개 첨단 분야에 나랏돈을 쏟아부어 ‘양적 제조강국’에서 ‘질적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선언이었다. 그 후엔 “중국이 무서운 건 각종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정부 주도로 10년 이상 미래를 내다보고 꾸준히 투자한다는 것”이란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의 말대로 진행됐다. 불과 9년 만에 원료부터 부품, 완제품에 이르는 그럴듯한 첨단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여기에 중국 특유의 ‘기업하기 좋은 인프라’가 더해졌다. 만드는 족족 구입해줄 든든한 내수시장 있지, 주 52시간 근무제 신경 안 쓰고 ‘밤샘 연구’할 이공계 인재 넘쳐나지, 사고 가능성이 있어도 일단 출시한 다음 보완하도록 각종 규제를 풀어주지…. 이쯤 되면 중국이 첨단산업을 못 하면 오히려 그게 이상한 거다. 그렇게 중국은 배터리(CATL)와 전기차(BYD) ‘세계 챔피언’을 배출했고,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로봇 분야도 미국을 바짝 쫓고 있다.우리는 어떤가. 정부가 작년 10월 내놓은 ‘국가 첨단전략산업 육성정책 현황 및 계획’ 자료를 보면 어떻게 돌아가는지 짐작할 수 있다. “①반도체: 국가 경쟁력 좌우하는 핵심 산업→전방위 지원 확대 ②2차전지: 초기 시장 선점→지속 성장 도모 ③디스플레이: 중국에 LCD 추월→OLED 초격차 확보”
하나씩 따져보자. ①주요국 중 반도체 보조금을 안 주는 곳은 한국뿐이며 ②배터리는 CATL이 ‘한국 삼총사’의 합산 점유율을 압도하는 ‘중국 천하’가 됐고 ③OLED 역시 가장 수요가 많은 소형 패널 1위 자리를 올 1분기 중국에 내줬다.
불과 6개월 전 자료인데 뭐 하나 들어맞는 게 없다. 명색이 ‘국가 첨단산업 육성정책’이라면서 미국 같은 화끈한 보조금 지급이나 중국 같은 파격적인 규제 완화도 없다. 모든 나라가 “첨단산업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며 정부가 앞장서 키우고 있지만 한국만 예외다. 정부와 기업이 한 몸처럼 움직이는 ‘팀 코리아’는 대체 언제쯤 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