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SK지오도 투자 재조정…1.8조 플라스틱 공장 손댄다
입력
수정
지면A14
SK그룹, 사업 리밸런싱 속도SK지오센트릭(옛 SK종합화학)이 1조8000억원을 투입해 울산에 짓고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클러스터(ARC)의 건립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열분해 공장, 폴리프로필렌(PP) 추출 공장, 페트(PET) 해중합 공장 등 3개를 동시에 지으려던 당초 계획 대신 열분해 공장만 착공하고 나머지는 추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각종 투자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SK그룹의 사업 리밸런싱 방침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인건비 자재비 등의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내년 3개 공장 건립 계획 수정
열분해 공장만 먼저 착공하고
PP·PET 공장은 추후 진행
투자비 상승·외부환경 악화 탓
SK는 지난해 11월 착공한 ARC를 2025년 말 완공해 2026년부터 상업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은 열분해 공장을 계획대로 지어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기로 했다. 해당 부지는 토양을 정리하는 ‘터파기’만 완료했다. 투자 재검토가 끝나는 대로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다.
당초 계획과 달리 한 개 공장만 가동하면 2025년까지 1조8000억원을 투입하려던 투자비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32만t으로 잡은 연간 폐플라스틱 재활용 규모도 대폭 축소된다.하지만 SK지오센트릭은 속도를 조절하는 것일 뿐 시장 상황과 자금 여력 등을 감안한 최적의 시점에 당초 계획한 투자를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업 전망이 밝다는 이유에서다. 회사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플라스틱을 제조할 때 재생 원료를 30% 이상 사용하도록 규정한 만큼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커질 수밖에 없다”며 “ARC를 짓기도 전에 연간 생산량의 30%를 해외 뷰티·식음료(F&B)·의류 브랜드에 선판매할 정도로 재활용 플라스틱 수요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