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올림픽 여는 파리가 예술로 물든 이유
입력
수정
올림픽 앞둔 파리, 다채로운 문화 전시·공연 열려
스포츠와 예술 연계한 ‘파리 문화 올림피아드’ 행사
도미닉 에르비유 총감독 “올림픽은 문화와 함께 해 와”
에르비유 만난 유인촌 장관 “우리도 참고하겠다”

두 달 앞으로 다가온 ‘2024 파리 올림픽’은 프랑스가 1924년 이후 정확히 100년 만에 파리에서 여는 올림픽 대회다. “다시는 볼 수 없는 대회가 될 것”이라는 토니 에스탕게 올림픽 조직위원장의 각오처럼 2일(현지 시각) 찾은 파리는 콩코르드 광장에 경기장이 설치되는 등 전 세계인을 맞을 준비로 여념 없었다. 흥미로운 점은 올림픽·패럴림픽을 앞두고 파리 전역에서 셀 수 없이 많은 예술 이벤트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 올림픽 정신을 예술로 즐기는 시도인 ‘파리 문화 올림피아드’ 행사들이다.
쿠베르탱의 나라, 스포츠와 예술 아우르는 이유
‘파리 문화 올림피아드’는 조직위원회가 올림픽 성공을 위한 핵심 콘텐츠로 제시한 대규모 이벤트다. 이날 파리 코리아센터에서 만난 도미닉 에르비유 올림피아드 총괄 감독은 파리뿐 아니라 프랑스 전체가 나서 올림픽과 연계한 예술 전시·공연을 선보이는 이유에 대해 “올림픽의 긴 역사는 문화와 함께 해왔다는 걸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실제로 20세기 초반 열렸던 올림픽은 노래나 연설도 경연을 벌였던 고대 올림픽을 본떠 예술로도 메달을 가렸다. 쿠베르탱의 제안으로 1908년 제5회 스톡홀름 대회부터 ‘예술올림픽’이 도입돼 회화, 조각, 음악, 문학, 건축 분야 전문가들이 선수가 돼 경쟁을 벌였다. 예술올림픽은 2차 대전이 막을 내린 1950년대부터 사라졌다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이후 문화 축제 형식으로 부활했는데, 파리올림픽은 100여년 전 예술올림픽 수준으로 문화 행사를 키운 것이다.
에르비유 만난 유인촌 “참고하겠다”
올림픽을 단순히 스포츠 행사가 아닌 문화·예술이라는 국가적 무형자산을 전 세계에 알리는 장(場)으로 만들려는 파리 문화 올림피아드는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시동 건 한국에도 여러 시사점을 준다는 게 문화·체육계의 공통된 인식이다. 이날 코리아시즌 개막에 맞춰 파리를 찾은 유인촌 문체부 장관이 에르비유 감독을 직접 만나 “제가 많이 참고하려 한다”면서 문화 올림피아드 계획과 예산운영, 마케팅 방식을 자세히 물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파리=유승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