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9세 맞벌이 부부 셋 중 하나는 無자녀"…10년 새 15% 증가
입력
수정
40대 미만 맞벌이 부부 셋 중 하나는 자녀가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맞벌이 무자녀 부부)이 지난 10년 사이 15% 이상 늘었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세부터 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2013년 22.2%에서 10년 새 5%포인트 가까이 늘었다.부부가 모두 일하는 맞벌이 부부만을 놓고 보면 무자녀 비중은 더 크다.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0년 사이 15.3%포인트 늘었다.
반면 홑벌이 부부 가운데 무자녀 비중은 2022년 기준 13.5%였다. 맞벌이 부부의 3분의 1 수준이다. 2013년 12.3%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10년 새 큰 변화가 없었다는 해석이다.
자녀 유무에 따른 아내의 취업상태를 비교해보면 무자녀 부부의 경우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이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포인트 증가했다.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10년 사이 36.6%에서 40.6%로 4.0%포인트만 늘었다.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여전히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에게 많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차가 보유 비중도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에게선 차이가 났다. 무자녀 부부의 자가 보유 비중은 2022년 기준 34.6%, 유자녀 부부는 52.0%였다. 반면 주 저축 이유로 '주택 마련'을 위해 꼽은 비중은 무자녀 부부가 유자녀 부부보다 1.7배 높았다. 무자녀 부부 중 맞벌이가 많은 영향으로 무자녀 부부의 월평균 가구 실질소득이 대체로 유자녀 부부보다 많고, 저축액도 많았음에도 주택 마련을 위해 저축하고 있다는 것.
보고서는 "주거 불안정성이 무자녀 부부의 출산 저해 요인 중 하나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며 서울 지역의 무자녀 부부 비중이 2022년 45.2%로 전체 평균 27.1%보다 높은 것도 서울의 높은 주택가격 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면서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세부터 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2013년 22.2%에서 10년 새 5%포인트 가까이 늘었다.부부가 모두 일하는 맞벌이 부부만을 놓고 보면 무자녀 비중은 더 크다.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0년 사이 15.3%포인트 늘었다.
반면 홑벌이 부부 가운데 무자녀 비중은 2022년 기준 13.5%였다. 맞벌이 부부의 3분의 1 수준이다. 2013년 12.3%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10년 새 큰 변화가 없었다는 해석이다.
자녀 유무에 따른 아내의 취업상태를 비교해보면 무자녀 부부의 경우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이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포인트 증가했다.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10년 사이 36.6%에서 40.6%로 4.0%포인트만 늘었다.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여전히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에게 많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차가 보유 비중도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에게선 차이가 났다. 무자녀 부부의 자가 보유 비중은 2022년 기준 34.6%, 유자녀 부부는 52.0%였다. 반면 주 저축 이유로 '주택 마련'을 위해 꼽은 비중은 무자녀 부부가 유자녀 부부보다 1.7배 높았다. 무자녀 부부 중 맞벌이가 많은 영향으로 무자녀 부부의 월평균 가구 실질소득이 대체로 유자녀 부부보다 많고, 저축액도 많았음에도 주택 마련을 위해 저축하고 있다는 것.
보고서는 "주거 불안정성이 무자녀 부부의 출산 저해 요인 중 하나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며 서울 지역의 무자녀 부부 비중이 2022년 45.2%로 전체 평균 27.1%보다 높은 것도 서울의 높은 주택가격 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면서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