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파월 '금리 안올린다'…美증시 최고가 갱신 '축포'
입력
수정
소비자물가 상승률 상승세 둔화...안도 랠리
기업 부도는 계속 증가... 불안한 호황
둔화된 물가 상승률...에브리씽 랠리
1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17% 오른 5308.15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 종가가 5300선을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40% 상승한 16,742.39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88% 오른 39,908.00에 각각 마감됐다. 이날 3대 지수는 모두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들어 S&P500 지수는 23번째, 다우 지수는 18번째, 나스닥 지수는 8번째로 각각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오픈AI가 사람의 음성으로 감정을 알아차리는 챗GPT를 선보인 데 이어, 구글도 인공지능 검색 등 신기술을 발표하는 등 기대감이 커지면서 관련 빅테크 기업 주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AMD는 4.25%, 엔비디아는 3.58%의 상승률을 나타냈고, 알파벳(구글) 애플은 1%대 오름폭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1.15% 상승했다. 다만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 기업 가운데 아마존은 약간 내렸고, 테슬라는 2%대 낙폭을 기록했다. 메타(페이스북) 2%가량 상승했다.금리인하 기대로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급락했다. 10년물 미 국채는 전일 대비 0.09%포인트 내린 연 4.354%의 수익률에 거래됐다. 2년물과 30년물 수익률도 하락했다. 건설업종 주가는 모기지 금리 인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동반 강세를 보였다.
원자재 가격도 랠리를 이어갔다. 구리 가격은 또 한번 신기록을 세웠고, 은은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6만6000달러대로 상승했다.
파월 "금리 인상할 것 같지 않다"
이날 지수 상승은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폭이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미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해, 전월 대비 상승률이 0.1%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미 중앙은행(Fed)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높인 것으로 외신들은 분석했다. 에리카 그로센(Erica Groshen) 코넬대 산업노동관계대학원 수석경제고문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매우 위안이 되는 보고서"라며 "경기 연착륙을 기대하는 시각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또 이날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과 같은(0.0%) 7052억달러로 집계됐다.기업 파산 급증...경기 불안감도 높아져
증시에 부정적인 소식도 있었다. 마냥 '그래서 Fed가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좋은 뉴스로 받아들이기 힘든 조짐으로 해석된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신용평가사 S&P 집계에서 지난달 전 세계 기업 채권 디폴트 건수가 2020년 10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18건의 디폴트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미국 기업이 10곳이나 포함돼 있었다. 미국 기업 채무불이행 규모는 71억 달러에 달했다. 정보기술(IT) 기업 '커버리지원' 홀딩스와 패션 소매업체 '익스프레스' 등이 채무 상환에 실패했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