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문화원을 한류 전초기지로"…문체부, K컬처 전략 내놨다
입력
수정
"해외 문화원을 한류 전초기지로…'코리아시즌' 10개국 진출"
문체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

이처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전방위적으로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응하는 정부의 국제 문화 교류·홍보 정책 체계가 아쉽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류를 키워드로 정책을 총괄할 컨트롤 타워가 없고 문화예술, 콘텐츠, 관광, 체육 등 각 분야별로 정책이 따로 이뤄지다보니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3일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국제문화정책 지원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고 밝힌 이유다. 문체부는 우선 부처 내에 국제문화정책협의회를 운영해 분야별 정책을 속도감 있게 조율하고 효율적인 협업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문체부 측은 “분절적으로 이뤄지던 국제교류 사업을 조정할 총괄 추진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해외 각지에 흩어져 있는 한류 관련 기관들도 기관 간 칸막이를 허물고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역할을 조정한다. 세계 34개국 42개소가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이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 비즈니스센터, 세종학당 등을 이끄는 구심점이 되는 것이다.

수교나 올림픽 같은 국제 행사를 계기로 한국문화를 집중 홍보하는 행사인 ‘코리아 시즌’ 규모도 키운다. 연간 10개 내외 대상 국가를 선정해 개최를 검토하고 이를 총괄할 예술감독도 선임한다. 부처간 긴밀한 협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이 참여하는 K-박람회를 연 2회 이상 개최해 한류의 경제적 효과도 챙긴다는 게 문체부의 구상이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서 우리 문화의 매력을 알리는 게 목표”라며 “한국이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도약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