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 바그너’ 존 윌리엄스의 영화음악에 숨 죽인 객석
입력
수정
[arte] 이현식의 클래식 환자의 병상일지인류 최초의 영화음악가는 누구였을까. 영화 이전의 사람이지만, 리하르트 바그너라고 나는 생각한다.
5월 19일 리뷰
1876년의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은 객석을 완전히 깜깜하게 만들었다. 오케스트라 피트도 일부는 무대 밑으로 넣고 일부는 덮개로 가려서 관객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했다. 다른 오페라 극장에선 일찌기 없었던 일이다. 관객이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일에만 집중하도록 만든 것이다. 당대의 관객이 바이로이트 무대에서 절대반지의 신화를 보고 들으며 느낀 시청각적 전율은 현대의 영화 관객이 <반지의 제왕>상영관에서 느낀 것 이상이었을 것이다. 바그너의 진전을 이은 우리 시대의 작곡가를 거론할 때 존 윌리엄스를 빼놓고 말할 수 있을까.
▶▶▶(인물 소개) 존 윌리엄스, 영화음악의 거장이자 우리 시대의 바그너
주요인물이나 주제 등에 대한 유도동기들을 만들고, 그걸 엮어서 음악으로 서사를 구축하고, 때로는 스크린에 상황이 벌어지지 않아도 음악으로 스토리텔링을 하는 등, 극음악 작곡가로서 바그너가 선보인 많은 기법들을 망라해 현대의 영화에 맞는 오케스트라 음악을 만들어낸 업적이 크다. 존 윌리엄스를 현대음악계에서 어느 정도로 인정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는 순수음악 작품들도 썼다), 그의 영화음악은 전세계인들로부터 20세기 이후의 클래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존 윌리엄스의 곡들은 음악적으로도 훌륭한 내용을 갖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히트하게 된 데는 대중의 귀에 착착 감기는 주제 멜로디들의 역할이 컸다고 생각한다. <쉰들러리스트>나 <레이더스>, <ET> 등의 주제선율은 영화 자체도 유명하지만 그 자체로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는가.
특히 <스타워즈> 주제가는 클래식 오케스트라의 공연에서도 앵콜곡으로 인기가 높다. 어느 해였던가, 런던심포니 내한공연에서 앵콜곡으로 스타워즈 주제가를 연주했는데, 서주가 울려퍼짐과 동시에 객석에서 탄성이 터져나왔고 곡이 끝나자 열광의 도가니가 되어 끓어올랐던 기억이 있다.최근 몇년 사이엔 존 윌리엄스 본인이 빈필과 베를린필을 직접 지휘한 콘서트가 음반과 영상물로도 발매돼 큰 인기를 끈 바 있다. 이번에 비슷하게나마 서울에서도 그 맛을 볼 기회가 있었다. <월드 유니온 오케스트라 슈퍼 클래식>이라는 타이틀로 빈필, 베를린필, 콘체르트헤보우, 뉴욕필, KBS교향악단 등의 연주자들이 모여 5월19일(일) 예술의전당, 20일(월) 롯데콘서트홀에서 존 윌리엄스 영화음악 콘서트를 연 것이다. <죠스(Jaws)> 등 몇몇 곡은 오케스트라 실제 연주로 처음 들었다. 연주 효과는 실로 놀라웠다. 거대한 북이 으르렁대며 불안한 긴장을 조성하고, 베이스의 저음이 상어의 위협적인 접근을 경고하는데…정말로 내가 바닷물 속에서 상어에게 쫓기는 듯 소름이 돋았다.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에서 절대반지를 지키는 용 ‘파프너’가 깨어나는 장면의 오마주 아닐까 싶었는데, 파프너보다 죠스가 훨씬 빠르고 강한 몬스터라는 느낌이었다. ‘존 윌리엄스는 현대의 바그너’라는 내 주장을 현장에서 확인한 것 같아 뿌듯했다.<슈퍼맨>과 <인디아나 존스(레이더스)> 주제곡이 울려퍼질 때는 가슴속에서 뭔가 뜨끈한 것이 치밀어 올랐다. 곡 자체도 사람을 흥분시키는 효과가 다분했지만, 개봉관 건물을 빙 돌아 줄을 서서 이 영화들을 보던 어린 시절로 타임머신 타고 돌아가는 느낌이 들었다. 미처 예상못한 감정이었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클래식 연관 장르의 음악 중에, 이만큼 전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이 또 있을까?
콘서트 후반부에는 “새로운 희망”, “클론의 습격”. “루크와 레이아” “시스의 복수” 등 <스타워즈>의 곡들이 잇따라 연주됐다. 가히 <스타워즈 모음곡(Star Wars Suite)>이라 할 만 했다.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의 오케스트라 편곡판 하이라이트인 <노래 없는 반지(Ring Without Words)>에 필적할 현대의 걸작 이었다! 존 윌리엄스의 음악적 변화도 느껴졌다. 1970~80년대 작품에서는 귀에 착착 붙는 주제선율과 금관의 멜로디 연주가 두드러졌다면, 2000년대 이후 스타워즈 시리즈의 음악들은 보다 텍스처가 두터워지고 무거워진 느낌이었다. 아나킨과 오비완이 용암지옥에서 광선검으로 사투를 벌이는 장면의 음악은 - 영화를 볼 때도 대단했지만 음악만 따로 연주되는 걸 들어보니 - 처절함을 넘어 숭고함까지 느껴졌다.
아르떼 필진이기도 한 뉴욕의 김동민 지휘자에 따르면 미국에선 이미 스타워즈 모음곡이 클래식 오케스트라의 필수 레퍼토리로서 자주 연주된다는데, 유럽이나 아시아 각국의 일반 콘서트 프로그램으로도 더 자주 채택되지 않을까 싶다. 30년, 50년 후에는 바그너 작품의 축약판인 <노래 없는 반지(Ring Without Words)>가 존 윌리엄스의 스타워즈 모음곡에 밀려나는 비극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될 정도다. 표값이 비싼 편이었는데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은 빈자리가 거의 없이 가득찼다. 비슷한 가격의 외국 오케스트라 내한공연이 열리면 비싼 초대권을 받은 사람이 실제로는 오지 않아서 객석에 구멍이 숭숭 뚫리는 가슴 아픈 광경이 벌어지곤 하는데, 그런 모습을 거의 볼 수 없었다.
객석의 몰입도와 반응도 이례적이었다. 매니아 관객의 비중이 낮은 유명단체 공연은 휴대폰 소음 등 이른바 ‘관크(관람 집중을 방해하는 행위)’가 심한 편이지만, 이날은 콘서트홀에 처음 오신 듯한 분들도 비교적 정숙을 유지한 채 공연에 집중하는 게 느껴졌다. ‘콘서트홀에서 듣는 진짜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이런 거구나’를 경험한 사람들이 앞으로 일반 클래식 공연도 더 자주 찾는다면 얼마나 좋을까. 다음엔 존 윌리엄스 본인이 직접 오셔서 지휘를 해 주시면 좋겠다. 가까운 일본에선 사이토키넨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서 <존 윌리엄스 인 도쿄>라고 얼마전에 음반도 나왔던데, <존 윌리엄스 인 서울>도 실현되길 바란다. 1932년생으로 올해 92세라니 시간이 많지 않다.
이현식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