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콜리'는 찬란함과 아름다움이라는 이진법으로 세상을 본다
입력
수정
[arte] 최승연의 뮤지컬 인물 열전서울예술단의 신작 <천 개의 파랑>(2024)에는 로봇이 극중 인물로 등장한다. 주요 인물인 휴머노이드 로봇 기수 콜리 외에도 편의점 로봇 베티, 구조용 로봇 다르파, 맹인 안내 로봇과 안내 로봇, 청소 로봇 등 무대에 실제로 구현된 로봇들이 인간-배우와 함께 어우러진다.
서울예술단
물론 모든 로봇 인물들이 다 기계로 구현되지는 않는다. 콜리와 베티, 그러니까 ‘이름’이 주어진 이들은 연극적인 존재들이다. 콜리는 배우가 움직이는 퍼펫으로, 베티는 로봇 코스튬을 입은 배우로 형상화된다.

하지만 이보다 더 눈에 띄는 것은 콜리에게 인간-배우가 연기해야 할 ‘내면’이 있다는 극의 관점이다. 이것은 뮤지컬 <천 개의 파랑>이 현실을 바라보는 눈이다. 물론 이 관점은 천선란의 원작 소설에서부터 가져온 것이다.
▶▶▶[관련 리뷰] 천 개의 단어, 실수로 알아버린 '로봇 기수'가 묻는다 "왜 달려야 하죠?"
질문하는 콜리
콜리는 로봇이지만, 직원의 실수로 누구보다 ‘인간적’인 로봇으로 탄생한다. 콜리에게 다른 칩이 끼워지는 바람에 그는 보통의 기수 로봇과 달리 인지 기능을 갖춘 ‘이상한 로봇’으로 완성된다. 그는 세상을 ‘찬란하다’는 단어로 처음 마주하는 ‘질문하는 존재’로 태어난다. 콜리는 우연히 천 개의 단어로 딥러닝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지만, 그 단어들로 모두 규정될 수 없는 내면이 자신 안에 있음을 인지한다. 그 언어 이전의 ‘느낌’은 콜리의 언어를 구성하는 알파와 오메가인 ‘찬란함’과 ‘아름다움’ 사이 어딘가에 있다. 그래서 그는 세상을 막 알게 된 아이처럼 끝없이 질문하며, 세상을 향해 언어와 감각을 확장한다.그는 처음 마주하는 대상을 존재 자체로 느끼며 질문을 통해 대상과 자신 사이의 거리를 좁히려 한다. 새로 만나는 모든 대상에게 ‘이름’을 물어보는 것이 그 이유다. 따라서 콜리의 ‘인간적’인 자질은, 그가 가진 천 개의 단어로 인간과 로봇의 경계를 흐리는 ‘확장성’ 안에서 만들어진다. 인간이 ‘인간적’이라는 개념을 ‘정감’ 혹은 ‘실수와 나약함’에 대응시키는 것과 조금 다르다. 극 초반 넘버 ‘천 개의 단어’는 이런 인간적인 콜리를 담백하지만 드라마틱한 멜로디로 담아내고 이는 공연의 첫인상을 만든다.
확장하는 콜리
콜리의 확장성은 먼저 말 투데이에 가서 닿는다. 무엇보다도 그는 휴머노이드 기수였기 때문이다. 그는 투데이를 ‘아름다움’으로 느낀다. 투데이의 아름다운 갈기, 투데이가 당근을 먹을 때의 경쾌한 근육의 움직임, 투데이가 달릴 때의 자유로운 느낌은 콜리에게 모두 ‘아름다움’으로 번역된다.콜리는 투데이와 함께하며 처음으로 ‘호흡’이라는 단어를 알게 된다. 자신은 숨을 쉬지 않지만, 투데이가 질주할 때 느끼는 행복감을 공유하며 ‘숨을 쉬는 감각’을 경험한다. 하지만 이 감각은 콜리를 낙마하게 만든다. 그것은 투데이의 아픈 다리를 지키고 동시에 스스로 ‘살아있음의 감각’을 기억하려는 콜리 최초의 주체적인 선택이었다.
아름다움으로 완성된 콜리
하지만 콜리는 끝내 최초의 아름다움을 위해 또다시 낙마를 선택한다. 이로써 투데이는 안락사를 피하여 자연 속에서 살게 되었고 연재네 가족은 평화로운 일상을 찾는다. 콜리는 이 두 번째 주체적인 선택으로 영원히 사라지지만, 투데이와 연재 가족이 삶을 이어가는 모습에 자신의 ‘호흡’을 더함으로써 그들 곁에서 영원히 살아 숨 쉬게 된다. 점차 천 개의 단어로 모두 표현할 수 없었던 콜리의 확장된 감각은 마지막 단어 ‘아름다움’ 안에서 이렇게 완성된다.▶▶▶ [관련 기사] 벤자민 버튼, 버지니아 울프, 천개의 파랑까지… 국내 창작 뮤지컬 만발
▶▶▶ [관련 기사] 고전부터 스타작가까지, 다른 옷 입고 태어나는 SF소설 전성시대
▶▶▶ [원작소설의 작가 '천선란' 관련 칼럼] 초록이 세상을 지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