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NASA' 우주청 출범

윤영빈 "우주경제 강국 이끌 것"
정원 290명…초기 110명만 근무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윤영빈 청장이 경남 사천시의 임시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주항공청이 개청한 27일 윤영빈 청장이 경남 사천시의 임시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민국 우주항공 분야 정책 수립과 연구개발(R&D) 및 산업을 담당하는 우주항공청이 27일 정식 출범했다. 영문명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비슷한 KASA(Korea Aero Space Administration)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은 이날 경남 사천 청사로 출근하며 “우주 항공인들이 염원해 온 우주청이 드디어 개청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한국을 우주 경제 강국으로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윤 청장은 우주항공청의 역할로 국가 우주항공 정책 수립, R&D 수행 및 인력 양성, 산업 진흥, 국제 협력 등을 꼽았다. 그는 “의자의 네 다리가 균형과 조화를 이뤄야 바로 설 수 있듯 우주항공청도 각 부서의 균형과 조화가 잘 이뤄질 때 제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주항공청은 차관급 청장과 1급 공무원인 차장 1명, 우주항공임무본무장 1명 등 293명이 정원인 조직이다. 출범 초기에는 110명만 근무한다. 이날부터 윤 청장과 함께 노경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차장으로, 존 리 전 NASA 본부장이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