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아트 황제' 앤디 워홀이 무려 6년간 변주한 어떤 남자의 얼굴
입력
수정
서울 한남동 타데우스로팍 앤디 워홀 展“마치 아비뇽에서 라이벌 교황 두 명이 마주친 것 같은 아우라였다.”
‘빛나는 그림자 : 요셉 보이스의 초상’
1378년 유럽에서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같은 하늘 아래 두 명의 교황이 생기면서다. 클레멘스 7세는 프랑스 아비뇽에서, 우르바노 6세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전세계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등극했다. 물론 두 명의 교황이 실제로 만난 적은 없다. 하지만 미국의 저술가 데이비드 갤러웨이는 '아비뇽 유수' 이후 600년 만에 그런 일이 벌어진 것처럼 느꼈다. 영국 왕립예술협회 회원이자 큐레이터로 일했던 갤러웨이는 1979년 독일 한스 마이어 갤러리 앞에서 앤디 워홀과 요셉 보이스가 만나는 장면을 두고 두 개의 태양이 만났다고 생각했다. 미국의 워홀은 '팝아트의 제왕', 유럽의 보이스는 개념미술의 대가로 '20세기 다빈치'로 불렸다.
미국과 유럽에서 명망을 쌓았던 두 사람은 이듬해에도 만났다. 워홀은 다시 만난 보이스에게 다가가 “사진을 찍어도 되겠냐”고 물었고 보이스는 흔쾌히 수락했다. 그렇게 워홀은 자신의 카메라에 펠트 모자와 낚시 조끼를 입은 보이스를 담았다. 보이스의 사진은 다양하게 변주됐다. 워홀은 1980년부터 무려 6년 동안 보이스의 사진 하나로 작품을 만들었다.
워홀도 반한 ‘아비뇽의 교황’과도 같던 요셉 보이스는 독일의 행위예술가이자 설치미술가다. 그는 펠트와 기름덩어리를 사용해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을 펼쳤다. 세계 2차대전에서 군인으로서 전장에 뛰어들었다 겨우 살아난 그의 경험은 세상의 폭력성에 눈을 뜨게 했다. 이후 ”예술만이 사회의 억압을 제거할 수 있는 유일한 힘“이라 주장하며 예술 활동을 펼쳤다. 특히 그가 1965년에 선보였던 퍼포먼스 '죽은 토끼에게 그림을 설명하는 방법'에서 보이스는 기름덩어리, 금박, 그리고 꿀을 얼굴에 덕지덕지 바르고 팔에 죽은 토끼를 안았다. ’인간도 알아듣기 힘든 현대미술을 토끼는 바로 알아듣는다‘며 동물이 인간보다 더 위대하다는 메시지로 인간의 오만함에 일침을 날렸다. 그의 실험적 예술은 이후 필립 파레노, 마우리치오 카텔란 등 후대 예술가에 큰 영감을 줬다. 지금 서울에서 앤디 워홀이 그린 ‘요셉 보이스 시리즈’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타데우스 로팍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빛나는 그림자 : 요셉 보이스의 초상’전이다. 워홀의 보이스 연작을 모아놓은 전시는 1980년대 이후 세계 처음으로 기획됐다. 캠벨 깡통 캔, 마릴린 먼로 시리즈 등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앤디 워홀의 작업세계를 색다르게 조명하는 전시다.
하나의 사진을 두고 작품마다 다른 색과 조형, 재료를 사용해 모두 다른 그림인 것처럼 보이게 만든 것도 워홀만이 가진 특별한 작업방식이다. 이번 전시에서도 한 명의 단일한 초상을 두고 워홀이 어떻게 다른 시도를 해 왔는가를 되짚어볼 수 있다.앤디 워홀의 작업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기법은 스크린프린팅이다. 같은 이미지를 쓰더라도 조금씩 다르게 표현할 수 있었던 이유가 이 작업 방식에 있기 때문이다. 캔버스 위에 스케치를 한 후 빈 공간에 접착제를 올린다. 이후 잉크를 그 위에 부어 접착제가 없는 부분에만 색을 입히는 방식이다. 워홀은 색에 제한을 두지 않고 여러가지 색감을 사용하거나, 잉크 대신 다른 재료를 차용하며 그림에 변주를 줬다.이번 전시에 나온 작품 중 가장 두드러지는 작업은 잉크 위에 다이아몬드 가루를 덧뿌린 작업이다. 잉크가 마르기 전 다이아몬드를 갈아서 만든 가루를 뿌렸다. 다이아몬드가 뿌려진 요셉 보이스의 얼굴이 전시장 조명과 통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모습을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워홀의 연구작을 집중 조명했다는 것이다. ‘유니크 트라이얼 프루프’ 시리즈로 불리는 워홀의 실험작을 전시장 한 방에 모두 채워넣었다. 단색 배경에 다양한 색을 올리는 시도를 한 것이 특징인데, 워홀에게 이 과정은 하나의 이미지에 다양한 변용을 주기 위해 했던 연구나 다름없었다.한 작품을 세상에 내놓기 위해 그는 동일한 실험 과정을 45번이나 거쳤다. 모든 실험작 아래에는 이 작품이 몇 번째 실험인지를 구분하는 숫자를 적어 넣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 나온 모든 연구작 하단에도 그가 연필로 적어 넣은 숫자들이 붙었다.워홀은 자신의 연구작을 미완성작이나 판화가 아닌 원화와 동일시한 작가다. 실험작은 그것 그대로 워홀의 세상 하나뿐인 작품이 됐던 것이다. 당시 미술계에서 워홀의 이러한 사고방식은 혁신적으로 여겨졌다.
이번에 나온 요셉 보이스 연구작 중 하나는 레이온을 이용해 색을 입힌 작품이다. 실처럼 묶인 컬러 레이온을 이용해 색을 입혔다. 이 작품은 워홀이 레이온이라는 재료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쓴 작업으로 남아 있다. 스크린프린팅과 채색 작업뿐만 아니라 워홀이 연필로 그린 요셉 보이스의 스케치 작업도 함께 걸렸다.팝아트와 개념 예술, 전혀 다른 곳에서 다른 예술을 펼쳤던 앤디 워홀과 요셉 보이스지만, 이들은 일상적 이미지를 낯설게 표현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이 닮아 있다.이번 전시 제목에도 두 작가를 향한 갤러리의 존경이 담겼다. 이 두 작가 에게 그림자처럼 붙어다니는 실험적인 도전정신에 대중과 후대 예술가들이 보다 더욱 주목해야 한다는 메세지를 담아냈다. 전시는 7월 27일까지.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