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AI가 작곡한 곡 듣고 쓰러질 뻔?
입력
수정
지면A23
예술 본질은 다르게 생각하는 능력“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 예술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인간의 창작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AI로 예술의 경계 확장될 수도
임희윤 음악평론가
며칠 전, 특강을 하기 위해 찾은 한 고등학교 교실. 질문을 위해 손을 든 학생은 조금 근심 어린 표정이었다. 예술가를 꿈꾼다는 그 학생의 진지한 질문에 즉답하기 힘들었다. 생각을 가다듬으며 2~3초는 뜸을 들여야 했다. 저들이야말로 AI와 함께 숨 쉬며 사는, 첫 세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짧은 시간에 여러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어떻게 답했는지는 이 글 끝에….6월 29일과 30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걸그룹 에스파의 콘서트에 매우 특별한 특별 게스트가 출연할 가능성이 높다. ‘3분기 데뷔 예정’인 버추얼 가수 나이비스(nævis)다. 나이비스는 2020년 11월 에스파가 데뷔할 때부터 스토리와 캐릭터로 존재했다. 현실의 에스파 멤버들을 가상현실 속 거울 멤버들인 ‘아이-에스파(æ-espa)’와 이어주는 연결자로 설정됐다. SMCU(SM 컬처 유니버스) 세계관 속에서 마침내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순간이 무대 위에 구현될지, 그것이 과연 어떤 모습으로 현현할지 기대된다.
얼마 전, 한 게임음악 시연회에 사회를 보러 갔다가 행사 종료 뒤 작곡·편곡가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그는 내게 낯선 인터넷 사이트 주소 하나를 건넸다. “지금 베타 서비스 중인데 조용히 혼자만 들어가 보세요. 아직 거의 안 알려졌는데요. AI 작곡 서비스에 몇 곡 의뢰해 보고 저 쓰러질 뻔했거든요. 한 1~2년 바짝 일하고 이 판을 떠야겠어요. 이런 게 상용화하면 저 같은 작곡가들은 정말 할 일이 없을 테니까요.”
반농담처럼 너털웃음을 지었지만, 그의 말을 성문 분석하면 농담은 10% 미만이 될 듯했다. 클래식 음악계는 어떻게 될까. 창작의 영역에서 AI와 인간의 협업으로 상상을 뛰어넘는 작품이 나올 수 있을까. 말러의 ‘천인 교향곡’을 넘는 ‘백만인 교향곡’, 존 케이지의 ‘4분 33초’를 능가하는 ‘-(마이너스) 4분 33초’가 나오지 말란 법 있나.대형 오케스트라의 미래는? 모르겠다. 지난 3월 두바이에서 제1회 AI영화제가 열렸는데 한국인이 대상을 탔다. 작품명은 ‘원 모어 펌프킨’. 호박 농장을 운영하는 노부부가 어느 날 찾아온 저승사자에게 죽이는 호박죽 식사를 대접하면서 벌어지는 기상천외를 다룬 작품이다. 모든 카메라, 제작 스태프 없이 무료 생성형 AI만 써서 단 5일 만에 만든 영화다. 관현악 단원들의 해석과 땀의 총합이 ‘배울 만큼 배운’ AI의 섬세한 연주로 대체된다면…?
실연, 작사, 작곡, 편곡…. 음악 창작과 연주의 모든 영역에서 이른 시일 안에 AI는 협업이나 분업의 파트너 또는 하청업체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 날이 오면, 연주자 가운데서는 자신만의 개성이 강하고 종잡을 수 없는 즉흥성과 상상력을 지닌 아티스트가 살아남을 확률이 더 높아지리라.
아차, 서두에 질문한 학생에게 나는 이런 답을 건넸다.
“4000만 국민 가운데 영화감독은 100명이 될까 말까 하던 시대가 지나고 AI의 힘을 빌려 4000만 명 중 2000만 명이 영화감독이 되는 날이 오면 중요해지는 것은 무엇일까요? 영상을 찍는 기술이 아니겠죠. 질문하는 능력,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능력 아닐까요. 그리고 누구나 예술을 하는 시대는 두려운 미래, 끔찍한 디스토피아가 아니에요. 특별한 재능이나 환경이 뒷받침된 극소수만이 예술 창작을 독과점하던 구시대와 영영 작별하는, 진짜 예술의 파라다이스가 올지도 모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