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과미래 "1960년대생 15%, 부모·자녀 이중부양한다"

돌봄과 미래
386세대로 불리는 국내 1960년대생 15%가 부모와 자녀 양쪽을 모두 부양하는 이중 부양 상황에 처해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노후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60년대생(55~64세) 성인남녀 980명을 대상으로 '60년대생 돌봄 인식조사'를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386세대로도 불리는 1960년대생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710만 명)보다 많은 850만명이다. 전체 인구의 16.4%를 차지한다. 이들은 초고령 사회가 예고된 내년 65세가 돼 법적 노인 세대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조사 결과 국내 응답자 10명 중 3명(29%)은 본인이나 배우자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부모가 있는 1960년대생 44%는 부모에게 경제적 도움으로 월평균 73만원을 주고 있었다.

응답자의 84%가 평균 2명의 자녀를 뒀는데 이들 중 43%는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으로 월평균 88만원을 주고 있었다.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 부양 상황에 처해 있었다. 돌봄 비용으로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했다.응답자의 59%는 법적 노인연령인 65세보다 5세 많은 70세부터 노인이 시작한다고 답했다. 그보다 많은 연령을 꼽은 응답자도 18% 차지했다.

노후에 함께 살고 싶은 대상은 '배우자와 단둘'이 66%였다. 혼자 살고 싶다고 답한 사람은 28%였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고 답한 사람은 6%에 불과했다.

노후 책임에 대해서는 본인이 89%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62%는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데 국민연금 80%, 예금·적금·저축성 보험 56%, 사적연금 34%, 주식·채권 31% 등의 순이었다.1960년대생의 70%는 수입을 목적으로 일하고 있었다. 임금근로자가 68%(정규직 69%, 비정규직 31%), 자영업 등 비임금근로자 30%였다.

1960년대생의 52%는 오래 일해온 일자리에서 퇴직했다고 답했다. 평균 퇴직 나이는 54.1세였다. 다만 55~59세는 50.7세, 60~64세는 56.7세로 나타나 퇴직연령이 점점 빨라졌다. 퇴직 후 54%가 재취업하거나 창업했는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98%는 '우리 사회에서 돌봄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곳은 살고 있던 집이 52%로 가장 높았다. 노인요양시설 22%, 실버타운 20%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0.2%는 본인이 고독사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비율은 소득이 낮을수록 높아 월 소득 200만원 미만에서는 49.9%가 고독사할 것으로 내다봤다.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1960년대생은 기존 노인 세대와는 다르고 돌봄에 대해서도 다른 요구와 태도를 보인다"며 "2026년 3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는 지역돌봄통합지원법은 10년 이후 미래 노인인 1960년대생 특성에 맞춰 방향을 잡아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