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그렇게 먹는다고?"…노르웨이 해양장관이 한국 온 까닭

노르웨이 수산 해양정책 장관 첫 방한
"한국 내 노르웨이 연어 등 인지도 높일 것"
사진=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제공
"한국 수산물 시장은 우리가 공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시장입니다."

마리안네 시베트쉰 내스 노르웨이 통상산업수산부 해양수산담당 장관은 3일 더 플라자 서울 호텔에서 열린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은 노르웨이 수산물 중에서 연어와 고등어를 많이 섭취하는 국가"라며 이 같이 말했다.내스 장관은 한국이 노르웨이 수산물 소비 성장세가 가팔라 유통업체 등 이해관계자들을 만나기 위해 방한했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 앞서 그는 지난 2일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과 용산구 대형마트를 찾았다. 이날 오전에도 국내 주요 수산물 관련 업체 네 곳을 만났다.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4월 기준 노르웨이의 수산물 수출 국가 중 11위를 차지했다. 크리스티안 크라머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최고경영자(CEO)는 "상위권에 이름을 올린 폴란드와 덴마크, 네덜란드 등 수산물을 수입해 가공 후 수출하는 3개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한국은 8위 수출국"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 시장의 성장성에 주목했다. 크라머 CEO는 "10위권 내 비유럽 국가는 중국과 한국뿐"이라면서 "한국은 전자상거래 시장이 발달했으며 소비자들이 원산지의 중요성 또한 잘 인지하고 있어 노르웨이 입장에선 수출에 고무적 시장"이라고 부연했다.국내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노르웨이 수산물로는 연어와 고등어, 갑각류 등 신선제품이 주를 이룬다. 지난해 기준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5만1300t으로 전체 수입량(5만8500t)의 87.7%였다. 수입 고등어 10마리 중 9마리는 노르웨이산인 셈이다. 연어도 지난해 수입량 4만3500t 중 63.4%(2만7600t)가 노르웨이산이었다.
3일 열린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크리스티안 크라머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CEO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세린 기자
노르웨이에서는 특히 한국의 연어 소비시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고등어 시장은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산 자국 제품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연어는 사실상 국내산 경쟁자가 거의 없어서다.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노르웨이산 고등어의 수출량이 가장 많았지만 수출액으로 따져봤을 때 연어의 가치가 더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에선 연어가 건강식으로 각광받으면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노르웨이수산물위원회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3%가 가장 좋아하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연어를 택했다. 위원회는 한국을 초밥과 사시미, 포케(하와이안 샐러드) 등 연어를 생으로 가장 많이 소비하는 시장이라고 짚었다. 특히 한국 소비자들이 원산지의 중요성을 인지해 '노르웨이산 연어'를 더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크라머 CEO는 "노르웨이는 차갑고 청정한 바다 등 환경이 수산물을 키우기에 최적의 환경"이라며 "미래의 수산물 소비 주축이 될 Z세대 소비자들은 높은 환경 인식을 통해 지속할 수 있고 윤리적 소비를 할 수 있는 수산물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최근에는 연어의 가격이 크게 올라 수입액이 줄었다. 이에 노르웨이는 어획량을 늘려 가격 안정화에 나설 방침. 내스 장관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문제로 식품 물가가 오른 데다 구매력이 떨어진 영향이 크다"면서도 "체계성 있게 어족자원을 관리해 어획량을 늘리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