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직장인 "7~8월에 휴가 안 갈래요"…이유 들어보니 [1분뉴스]

7~8월 성수기 대신 6월에 떠난다
황금연휴 낀 6월, 숙박 세일 페스타까지

40대 직장인 한모 씨는 올해 여름휴가를 예년보다 앞당겨 6월에 쓰기로 했다. 평소 7~8월에 휴가를 다녀온 그는 "어딜 가도 사람 많고 더운 7~8월을 피해 6월에 다녀오려 한다. 마침 항공권도 구했고 비용도 성수기보다는 싸서 큰 마음 먹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무더운 여름을 피해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일정을 모두 맞춰야 하는 가족여행보다 운신이 보다 자유로운 1인가구가 증가한 데다, 자녀 방학에 맞춰 휴가를 쓰던 관행도 교외체험학습 등을 통해 학기 중에 가족여행을 다녀오는 경우도 많아지는 등 패턴이 다변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용을 절약하거나 번잡함을 피할 수 있는 점도 주된 이유다.3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년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관광·휴양 목적으로 여행을 떠나는 국내 관광여행 횟수는 2023년 6월 2122만회로 전년 동월(2022년 6월 2044만회) 대비 3.8% 증가했다. 반면 여름휴가 성수기인 7~8월은 각각 2203만회(0.7% 증가), 2316만회(0.9% 감소)로 1년 전에 비해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이 '이른' 여행 성수기로 떠오르는 셈이다. 올해도 6월 여행을 떠나는 관광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충일(6월6일) 이튿날에 하루만 휴가를 사용하면 연이어 나흘을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있는 데다 여행업계도 각종 할인 프로그램을 내놓으면서다.

특히 6월 한 달간 진행되는 '대한민국 숙박 세일페스타'는 국내 여행 수요를 이끌어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월과 3월 배포한 숙박 할인권은 여행 지출액 약 862억원, 지역 관광객 약 48만명 유발 효과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G마켓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국내 여행 판매량이 숙박 할인권이 배포된 2월(97% 증가)과 3월(90% 증가)에 거의 2배 뛰었다.제주항공이 지난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실시한 '2024 여행 트렌드 설문조사'에서도 올해 월별 여행 선호도는 전통적 성수기 7~8월(13.4%)보다 5~6월(18.9%)이 5.5%포인트 더 높았다. 조금이라도 알뜰하게 여행을 즐기려는 관광객이 늘면서 비수기에 여행을 떠나는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풀이된다.

여행 플랫폼들도 이에 발맞춰 고객 유치에 나섰다.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진행하는 숙박세일페스타는 지역관광 활성화와 내수경기 진작을 위해 이날부터 오는 30일까지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숙박시설을 2만~5만원 할인해주는 쿠폰을 제공한다. 여행 플랫폼들은 여기에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식이다.

인터파크트리플은 최대 3만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한다. 야놀자는 최대 5만원 할인 등 쿠폰 팩을, 마이리얼트립은 추가 3만원 할인이 가능한 1+1 쿠폰 등을 선보인다. 쿠팡은 와우회원 가입자만 지역 호텔 예약시 최대 25%의 추가 할인 혜택을 준다.업계 관계자는 "통상 기업들 휴가가 시작되는 3분기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여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여행사들도 캠페인을 벌인다. 올해는 정부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시기가 좀 더 앞당겨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1일 제주 이호테우해수욕장에서 여행객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다. 이호테우해수욕장을 비롯해 제주 해수욕장 5곳은 오는 24일 조기 개장한다. /사진=뉴스1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