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에 걸친 삼성家 문화공헌…호암 기획전 5번 찾은 이재용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관람객 6만명 돌파

한·일·중 불교미술 걸작 한자리에
5년간 준비…47점 국내 첫 공개

조부·부친의 철학 이어
조건 없이 미술품 사회 환원
호암미술관이 전시 중인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에서 일반에 최초로 공개된 ‘금동 관음보살 입상’ 앞에 관람객이 모여 있다. 오는 16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4일 관람객 6만 명을 넘어섰다. /뉴스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호암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기획전을 그동안 다섯 번 찾았다. 올 3월 첫선을 보인 기획전은 한국 일본 중국 등 3개국의 불교미술을 ‘여성’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한 세계 최초의 전시로 호암미술관의 ‘야심작’이다. 이 회장 옆에는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만한 해외 ‘VIP’들이 함께했다. 이 회장은 ‘감지금니 묘법연화경(紺紙金泥 妙法蓮華經)’을 확대해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돋보기’를 시연하며 한국 불교미술의 진면목을 세계에 알렸다.

삼성가(家)는 한국 고유의 미(美)와 예술에 애정이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병철 창업회장은 ‘민족문화의 유산은 모두의 유산’이라는 소신을 담아 1987년 호암미술관을 개관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은 2004년 문을 연 리움미술관을 한국 미술계의 메카로 키워냈다.이 회장도 가족과 함께 부친이 수집한 작품을 국가에 기증하기로 결정하며 창업회장과 선대회장의 철학을 계승했다. 2021년 선대회장이 수십 년간 모은 작품 2만3000여 점을 국가에 기증했다. 우리 문화재와 미술품에 대한 사랑의 뜻을 국민과 함께 나눴으면 한다는 고인의 뜻을 기려 조건 없이 사회에 환원했다.

이번 전시도 3대에 걸친 예술혼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불교미술 걸작품 92점(한국 48·중국 19·일본 25)을 전시 중이다. 이 가운데 한국에 처음 들어온 작품이 무려 47점이다. 해외 개인 소장가로부터 대여한 ‘백제의 미소’ 금동 관음보살 입상은 국내에서 일반에 최초 공개됐다. 나전 국당초문 경함도 세계에 단 6점만 남아있는 고려시대 국보급 작품이다.

호암미술관은 준비에 5년을 쏟았다. 해외에서 중요 작품 한두 점을 대여해 전시하는 사례는 많지만 47점을 해외에서 들여와 한자리에 모으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전시에 포함된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수월관음보살도’ 같은 고서화는 미국에서도 자주 전시하지 않는 작품이다.미술계에서도 이번 전시에 대해 불교미술 전시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이솔 미국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미술학과 교수는 “곡선으로 연출한 관음보살도 공간과 직선으로 구획된 백자 불상(백자 백의관음보살 입상) 공간이 이어지는 연출이 현대미술 전시장을 보는 것과 같이 신선했다”고 말했다. 김영나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한곳에서 보기 힘든 불교미술의 명품들”이라고 평했다.

지난 3월 개막한 이번 전시는 4일 기준 관람객 6만 명을 넘어섰다. 하루평균 1000명 이상이 찾았다. K팝 그룹 BTS 멤버 RM이 전시를 찾아 SNS에 사진을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폐막까지 10여 일이 남은 만큼 막바지에 관람객이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