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자동화율 70% 달성 눈앞…대선 결과 따라 TV 생산 검토"

LG전자 美가전 공장 가보니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인공지능(AI)을 통해 효율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생산라인 곳곳엔 자동 로봇(사진)이 배치돼 사람을 대신해 각종 부품을 조립한다.

공정별로 필요한 자재와 설비도 사람이 옮기지 않는다. 176대의 무인운반차(AGV)가 움직이며 적재적소에 필요한 물품을 실어 나른다. AGV가 공장 바닥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파악해 이동하는 형태다.이 공장은 이런 방식으로 공정 자동화율을 LG 세탁기 공장 중 가장 높은 64%로 끌어올렸으며, 100여 명분의 인건비도 절감했다. LG전자는 테네시 공장의 자동화율을 연말까지 68%로 끌어올린 뒤 내년엔 70%를 넘어서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LG전자는 이곳에서 세탁기와 건조기 외에 다른 가전을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높은 수율을 바탕으로 향후 통상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손창우 LG전자 테네시 법인장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대선에서 재선됐을 때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승리했을 때 전략을 조금씩 다르게 준비하고 있다”며 “확정된 내용은 없지만 통상 환경이 변화하면 이 공장에서 냉장고뿐 아니라 TV 등 다른 제품을 생산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클라크스빌=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