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탄소 중립'에 수십조원 투자 필요한데…

갈 길 먼 '그린 철강' 전환

中·日 저가 철강물량 쏟아지며
재원 부족한 철강사 투자 '난항'
철강기업에는 ‘기후 악당’이란 꼬리표가 붙는다. 국내 산업계가 배출하는 탄소의 39%를 철강업계가 내뱉기 때문이다. 철광석을 석탄으로 녹이는 고로(용광로) 공정에서 탄소가 엄청나게 나와서다. 철강기업이 탄소 배출을 줄이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탄소 중립’은 불가능한 미션이 된다.

철강업체들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고철을 원료로 사용하는 전기로 투자를 늘리고 있다. 포스코는 탄소 배출을 ‘제로(0)’로 줄일 수 있는 수소환원제철에 연구개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탈탄소 이행에 많게는 수십조원이 들어간다는 점이다. ‘현재’ 돈을 최대한 벌어놔야 ‘미래’에 투자할 수 있는데 최근 철강업계의 상황은 이 같은 전환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4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포스코가 가동 중인 고로를 모두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은 약 54조원으로 추산됐다. 기존 고로를 매몰하는 데 27조원, 신규 설비를 건설하는 데 27조원이 든다. 여기에 현대제철 등이 추가되면 전체 전환비용은 68조5000억원으로 불어난다.

업계 관계자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들려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수소환원제철 전환 작업을 해야 한다”며 “업황이 나빠 철강사들이 자체적으로 투자비를 마련하기 어려워진 만큼 정부 지원이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그린 철강’에 지원하기로 한 금액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1조3827억원뿐이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필두로 각 국이 탄소 규제에 나서는 점도 ‘착한 철강’을 생산해야 하는 이유다. 제품별 탄소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추가 관세를 내야 한다. 탄소 중립만이 문제가 아니라 시장을 잃을 위험에 처한 것이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 3일 ‘철의 날’ 기념행사에서 “저탄소 친환경 철강 생산 체계로의 빠른 전환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스웨덴 SSAB, 유럽 아르셀로미탈, 일본제철 등도 2030년을 전후로 대규모 수소환원제철 플랜트를 짓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