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 보고 주식 해야 되나"…음모론 점입가경 [이슈+]

尹, 동해 석유 매장 가능성 중대 발표 이후
야당부터 지지자들까지 '천공 개입 음모론'
관저 이전 때도, 의대 2000명 증원 때도
자꾸 음모론…"민주사회서 있어선 안 돼"
역술인 천공이 1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국제아트엑스포 2023(WAE, World Art Expo)에서 관람객들과 대화를 나눈뒤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야심 차게 발표한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시추 프로젝트에 국가적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일부 야권과 야권 지지자들은 음모론 삼매경에 빠져있다. 윤 대통령 부부와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역술인 천공이 최근 '우리나라도 산유국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을 놓고 또 한 번 국정에 주술이 개입했다는 음모론이 횡행하고 있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정 브리핑을 열고 "동해에 최대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차분하게 시추 결과를 지켜봐 달라"고 했다. 이어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노르웨이 시추 업체와 시추선 사용 계약을 마치는 등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시추 성공률에 대해 "굉장히 높은 수치"라며 기대감을 높였다.
대한민국의 산유국 가능성을 언급하는 천공. / 사진=유튜브 채널 '정법시대' 캡처
하지만 윤 대통령의 발표 이후 몇시간이 채 흐르지 않았을 무렵 야권과 야권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유튜브 영상 링크 하나가 공유되기 시작했다. 바로 천공이 지난달 16일 유튜브 채널 '정법시대'에서 "우리는 산유국이 안 될 것 같냐. 우리도 산유국이 된다", "이 나라 밑에 가스고 석유고 많다. 예전에는 손댈 수 있는 기술이 없었지만, 지금은 그런 게 다 있다"고 말한 영상이었다. 시기가 공교롭다는 의심의 눈초리와 함께 '윤 대통령의 발표에 천공이 개입했다'는 취지의 음모론이 태어났다.

단순 가십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던 이 음모론은 제1야당의 국회 공개회의를 통해 퍼져나갔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지난 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윤 대통령의) 이런 중대한 발표에 '천공의 그림자'가 보인다는 말들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고 했다. "이번에도 천공 작품이냐", "천공 보고 주식 해야 하냐"는 네티즌들의 음모론을 국회의원이 공식 석상에서 옮긴 것이다. 조국혁신당도 지난 5일 논평을 내고 "산유국의 꿈은 천공이라는 자와 정말 무관한 거냐"고 했다. 조국 대표도 페이스북에서 천공의 해당 발언이 담긴 유튜브 영상을 공유했다.
사진=네이버 카페
천공의 국정 개입설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가장 최근에는 윤석열 정부가 고수하는 의대 입학 정원 증원 규모 '2000명'에서 2000이라는 숫자가 천공의 본명인 '이천공'에서 비롯됐다는 음모론이 총선을 앞둔 지난 4월 초 퍼졌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정책이나 행사 등에 유독 2000이라는 숫자가 자주 등장했다는 것이다. 음모론에 동조한 이들인 정부가 6급 이하 실무직 국가공무원 2000명의 직급을 올리기로 한 것, 윤 대통령이 무료 급식 봉사 활동을 한 무료 급식소에 쌀 2000kg을 후원한 것부터 지난해 한미 정상이 이공계 분야 청년 인재를 2000명씩 교류한 것 등을 엮었다.이 역시 온라인 가십 정도로 그치지 않고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김두관 민주당 의원의 손을 탔다. 그는 당시 페이스북에서 "왜 꼭 2000명이냐. 1800명이면 의료 개혁이 실패하고 2000명이어야 성공하냐. 이번에는 손바닥에 2000이라는 숫자라도 쓰고 있는 거냐"며 "원희룡 후보를 따라다니는 이천수도 그렇고 작년 말부터 나온 2000이라는 숫자를 보고 다들 제기하는 음모론이 사실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했었다. 2023년 초에도 천공이 대통령 관저 이전에 개입했다는 음모론이 확산했지만, 경찰은 '사실무근'으로 결론 내렸다.
사진=연합뉴스
윤 대통령을 향한 야권의 '주술 프레임'은 대선 때 시작됐다. 윤 대통령이 2021년 10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TV 토론회 왼쪽 손바닥에 왕(王)자를 그리고 나온 게 화근이었다. 윤 대통령은 당시 "동네 할머니가 써준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때마다 불거지는 야권의 주술 음모론은 시간이 지나도 멈추지 않고 있다. 김연주 정치평론가는 "상대 진영 공격 수단의 하나로 음모론이 대두되고 있는데, 특히 민주당 계열에서 횡행하고 있다"며 "민주주의 사회에는 있어선 안 되는 일"이라고 했다.

논란의 당사자인 천공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 나서 국정 개입 의혹을 모두 일축했다. 그는 지난 2일 공개된 스카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 부부와는 검찰총장 시절 서너 번 식사한 게 전부였다"면서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배후에 있다는 질문, 의대 2000명 증원이 '이천공'에서 비롯됐다는 질문 등에 "아니다"라고 했다. 대통령 관저 이전에 대해서도 "지시한 적 없다"고 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