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교수들 "17일부터 전면 휴진"

빅5·국립대병원 확산 촉각
< 막막해진 환자들 > 6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달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하고 전체가 휴진하기로 결의했다. 서울대병원에서 한 입원환자가 병동건물 밖으로 걸어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최고 국립대병원인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윤석열 정부에 최후통첩을 했다. 정부가 전공의 사직 사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으면 무기한 집단 휴진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하면서다. 서울대병원과 서울대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부터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부서를 제외한 모든 진료과가 휴진한다고 6일 발표했다.

올 2월 중순부터 전공의 집단사직이 시작된 뒤 국내 대학병원들은 병상 가동 규모를 절반가량 축소했다. 지난달 31일 기준 서울대병원의 일반병실 병상 가동률은 51.4%다. 교수들까지 의료 현장을 떠나면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등 네 개 병원은 사실상 정상 가동이 어려워진다.서울대병원은 국내 소아·희귀 질환자들의 생명줄을 지키고 있는 ‘마지막 보루’다. 교수들이 응급·중환자 치료는 계속 유지하겠다고 했지만 휴진이 현실화하면 ‘의료마비’로 번질 수 있다.

휴진 선언이 서울대병원에만 그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선 의사들의 집단이기주의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