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격자무늬가 빚어낸 도시의 온기

건축물 속 격자무늬서 느끼는
건축가의 따뜻한 인류애

김현호 칼럼니스트
서울지하철 3호선 역사 근처에 있는 집에서 할머니가 계신 성내역(현 잠실나루역)까지는 지하철로 40여 분이 걸렸습니다. 어린이였던 저에게 그 시간은 매우 길게 느껴졌습니다. 그나마 유일하게 흥미를 느낀 순간은 2호선이 지상 구간을 통과할 때였습니다. 2호선 특유의 초록색 좌석을 거꾸로 돌아앉아 형과 함께 창밖을 구경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시원한 풍경만큼이나 생생하게 기억나는 게 있습니다. 바로 3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을지로3가역의 환승 구역입니다. 바닥부터 벽면까지 일관되게 하늘색 타일로 마감한 이 공간은 격자무늬로 이뤄진 까닭에 차원 이동을 하는 듯한 기분이 듭니다.도시의 풍경을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중에서도 건축물이 차지하는 위상은 남다릅니다. 그래서 날마다 도시를 걷는 우리는 특정 건축물과 직접적인 관계 맺기를 하지 않더라도 자세히 살피며 때로는 마음을 투영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건축물의 전체적인 모습은 물론이고, 작은 구성단위인 ‘그리드(grid·격자무늬)’에 대해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환(環) 공포증’을 일으켜 쳐다보기조차 힘들게 느껴지는 건축물부터 마음의 안정을 줄 만큼 ‘딱 적당한 비율을 갖춘’ 것까지 다양하죠.

붉은 벽돌을 건축의 단위로 즐겨 활용하는 거장 마리오 보타의 작품부터 루트비히 미스 반데어로에의 시그램타워를 계승한 것처럼 보이는 커튼월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 도시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그리드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서울이 세계적으로 매력적인 수도의 반열에 오르도록 한 배경에는 높은 수준의 시민의식 외에도 흉내 낼 수 없는 독특한 지형, 고유의 역사적 맥락 등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수려한 모습으로 쌓아 올린 한양도성의 근사함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복원된 한양도성을 따라 거닐다 보면 축성 시기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른 돌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태조가 성곽을 쌓기 시작한 시기와 세종, 숙종 때의 돌 모양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일종의 실명제이면서 돌의 출처를 기록해 놓은 ‘각자성석’(刻字城石: 축성에 참여한 담당자의 이름과 지역 등을 새긴 돌)으로 유명한 한양도성은 구간마다 조금씩 다른 특징이 오히려 다양한 그리드를 만들어내며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각자성석에는 축성을 위해 헌신한 당시 백성과 관리의 이름, 일자 등이 기록돼 있습니다. 수천 년 동안의 이야기를 머금은 격자라고 생각하니 왠지 모르게 온기마저 느껴집니다.

근대 건축 거장인 르코르뷔지에는 인체의 비례를 활용해 건축물의 크기와 가구를 디자인하는 측정 체계 ‘모듈러(Le Modulor)’를 착안했습니다. 피보나치수열을 접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르코르뷔지에가 특정한 수식이나 비례보다 중요하게 여긴 점은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이른바 ‘휴먼 스케일’이라고 하는 기준을 준수한 건축가로도 유명합니다. 프랑스 마르세유에 있는 아파트 건물 ‘유니테 다비타시옹’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격자를 갖게 된 배경에는 아마도 ‘건축가의 인류를 향한 따뜻한 시선’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지하철 을지로3가역의 환승구역부터 한양도성의 각자성석, 유니테 다비타시옹에 이르기까지 건축가와 선각자들은 이렇게 말하려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마음과 인류를 향한 친절함뿐이다.”

하늘색 타일을 기억하고 가끔 한양도성을 산책하는 까닭도 같은 맥락인가 봅니다. 이번 주말에는 가족과 추억 속 ‘나만의 그리드’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