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새마을금고·저축銀에 울리는 비상벨
입력
수정
지면A34
장창민 금융부장‘PF 부실 쇼크…저축은행 절반 무더기 적자’ ‘새마을금고 비상…431곳 적자 났다’ ‘수·신협 10곳 중 3곳 적자…상호금융 비상벨 울린다’ ‘깡통 논란 새마을금고 5000억원 배당 잔치’ ‘상호금융의 배신 서민대출 외면했다’ ‘부실채권비율 20% 넘은 저축은행 10곳’.
최근 두 달 새 한국경제신문 1면에 보도된 상호금융 및 저축은행 관련 단독 기사 제목이다. 농·수·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등 5대 상호금융사와 저축은행의 부실, 도덕적 해이 등을 비판한 기사다.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우선 금융권 안팎에서 ‘상호금융 및 저축은행 기사를 왜 이렇게 많이 쓰냐’는 질문을 꽤 받는다. 본지 편집국 내부에서도 “너무 자주 다루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다.
관리·감독 총대 멘 부처 없어
두 번째 반응은 ‘불편한 진실’에 대한 우려다. 관리·감독 책임을 진 금융당국마저 거북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굳이 몰라도 되는 수치와 사실을 자꾸 들춰내 금융시장의 불안감만 키우는 것 아니냐는 토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사석에서 기자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일부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신협 등이 위기 상황인 것은 맞다. 그렇다고 한국 경제가 흔들리는 건 아니지 않느냐.” 본지 기사에 대한 불만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읽힌다. 해당 금융사 관계자들은 “이러다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이 터지면 어떻게 하냐”는 불만도 쏟아낸다.비상벨을 왜 울리는가. 이유는 차고 넘친다. 그리고 선명하다. 우선 정확한 사실과 상황 전달이 필요하다. 외부에 공개된 상호금융권 금융회사에 대한 정보는 턱없이 부족하다. 여러 관련 부처가 분기나 반기마다 업권 전체를 뭉뚱그린 실적과 연체율 등만 제한적으로 발표해온 게 전부다. 전국에 깔린 개별 조합(금고)의 부실은 늘 가려져 있다. 후배 기자들이 때마다 개별 조합의 경영공시를 깡그리 뒤져 보도하는 이유다.(물론 숫자로 드러나지 않은 부실은 더 있을 수 있다.)
'트리거' 막아주는 예방주사 필요
정보가 별로 없다 보니 비판과 견제도 미흡하다. 농·수·신협 및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저축은행을 관리·감독하는 부처는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산림청, 행정안전부 등 제각각이다.이를 들여다보는 취재 기자도 흩어져 있다. 그래서 누구 하나 총대 메는 곳도, 사람도 없다. 개별 조합으로선 숨어 있기 딱 좋은 구조다. 누군가 작심하고 파고들지 않으면 상호금융권 개별 조합이 적자를 내고, 부실채권을 쌓아놓고, 배당 잔치를 벌여도 아무도 모를 수 있다는 얘기다. ‘사태’가 터지기 전까진 말이다.무엇보다 상호금융 또는 저축은행이 금융위기를 불러오는 ‘트리거’(방아쇠)가 되지 않도록 미리 막아주는 ‘예방주사’가 필요하다. 이미 5대 상호금융의 총자산은 (저축은행을 빼고도) 작년 기준 1000조원을 넘어섰다. 단위조합(금고)이나 개별 저축은행이 연쇄적으로 쓰러지면 금융시스템 전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정부의 대책 마련을 유도하고, 업권의 자정과 내부통제 강화를 끌어내야 할 때다. 끊임없이 비상벨을 울리는 이유다. 60년 넘게 지역·서민경제를 떠받쳐온 ‘풀뿌리 금융사’들의 건투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