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옭아매는 '사법 리스크'…계열사 소송가액만 1000억 넘어

카카오 '성공신화의 그늘'

SM 시세조종·제작사 고가 인수 수사
크고 작은 내부 폭로에 '충성도' 하락
한 시민이 서울 시내 카카오프렌즈 매장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카카오 임직원이나 계열사가 피고로 계류 중인 소송 사건은 올해 3월 말 기준 52건이다. 총소송액도 1088억500만원에 이른다. 일명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건을 제외하고도 크고 작은 소송에 엮여 있다. ‘카카오 사태 2라운드’의 무대가 검찰과 법원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9일 업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카카오는 총수인 김범수 창업자의 법률 리스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남부지방법원 관계자는 지난 4월 정례 브리핑에서 “김 창업자는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관련 피의자”라며 “관련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사당국이 김 창업자에 대해 검찰 조사가 필요하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실행 의지가 강하다는 뜻이다. 김 창업자는 지난해 10월 금융감독원에 소환돼 16시간 가까이 관련 조사를 받기도 했다.㈜카카오와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는 지난해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주가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1심 재판을 받고 있다. 인수 과정을 주도한 배 전 투자총괄대표는 지난해 구속됐다가 올해 보석 석방돼 재판을 받는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카카오와 공모해 시세조종에 나선 혐의를 받고 있는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 대표 지모씨가 구속기소됐다. 서울남부지법에선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도 수사 중이다.

크고 작은 ‘내부 폭로’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카카오가 쇄신 계획을 밝히고 한 달이 안 된 시점인 지난해 11월 김정호 카카오 CA협의체 경영지원 총괄이 내부 사정에 대한 공개 폭로 글을 올린 게 대표 사례다.

당시 김 총괄은 “‘카카오는 망한다면 골프 때문일 것이다’라는 소문이 파다해서 파악해 보니 특정 부서만 ‘투어프로’ 수준으로 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회사 측은 잇따른 수사와 재판에 내부 폭로가 더해지면서 ‘카카오=문제 집단’ 프레임이 굳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승훈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떨어진 내부 로열티는 중장기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며 “외부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신뢰를 회복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