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AI 성숙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 이상"
입력
수정
한국의 인공지능(AI) 성숙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인텔은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아태 지역 8개국의 AI 성숙도를 조사한 '2024년 IDC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성숙도 리서치'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아태 지역 AI 지출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9%씩 성장해 2027년에는 907억 달러에 도달할 예정이다.
AI 성숙도를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업·정부·사회경제적 준비 상태의 세 가지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아태 지역 국가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AI 성숙도를 보였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탐색 단계인 1단계, 인도·대만은 AI 실무 단계인 2단계, 호주·일본·한국은 AI 혁신 단계인 3단계, 싱가포르는 리더 단계인 4단계로 평가됐다. 한국이 포함된 3단계는 기술 인프라와 데이터 관리 전략이 잘 구축돼 있고, 이를 통해 AI 이니셔티브를 계획·관리하며 산업에서 새로운 사용 사례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또 한국은 기업, 정부, 사회경제적 측면 모두에서 아태 지역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산업별로는 첨단 제조 분야,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대규모 AI 투자와 품질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의 전체 AI 지출은 2023년부터 연평균 21.6% 증가해 2027년 4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AI 인프라 투자는 2023년부터 연평균 12.8% 성장해 2027년 말까지 10억5천8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10일 인텔은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아태 지역 8개국의 AI 성숙도를 조사한 '2024년 IDC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성숙도 리서치'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아태 지역 AI 지출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9%씩 성장해 2027년에는 907억 달러에 도달할 예정이다.
AI 성숙도를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업·정부·사회경제적 준비 상태의 세 가지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아태 지역 국가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AI 성숙도를 보였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탐색 단계인 1단계, 인도·대만은 AI 실무 단계인 2단계, 호주·일본·한국은 AI 혁신 단계인 3단계, 싱가포르는 리더 단계인 4단계로 평가됐다. 한국이 포함된 3단계는 기술 인프라와 데이터 관리 전략이 잘 구축돼 있고, 이를 통해 AI 이니셔티브를 계획·관리하며 산업에서 새로운 사용 사례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또 한국은 기업, 정부, 사회경제적 측면 모두에서 아태 지역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산업별로는 첨단 제조 분야,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대규모 AI 투자와 품질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의 전체 AI 지출은 2023년부터 연평균 21.6% 증가해 2027년 4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AI 인프라 투자는 2023년부터 연평균 12.8% 성장해 2027년 말까지 10억5천8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