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코스닥…ETF 수익률도 '쑥'

저 주가순자산비율(PBR) 테마의 강세로 한동안 외면 받았던 코스닥 시장이 반등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바이오, 2차전지 등 코스닥에 포진한 성장주에 대한 투심이 살아나고 있어서다. 소외된 주식에 대한 순환매가 이어지고 있는 점도 한몫했다. 전문가들은 바닥을 찍은 코스닥 시장의 분위기가 반전될 것으로 봤다.

소외됐던 코스닥 반등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닥 지수는 2.54% 상승했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의 상승률인 1.49%를 웃도는 수치다. 이날도 코스닥 지수는 0.17% 소폭 하락한 864.71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 지수(-0.79%)에 비해 낙폭이 작았다.상승폭이 가장 컸던 종목은 코스닥 바이오 대장주로 꼽히는 알테오젠이다. 지난 한 주 간 35.17% 급등했다. 개별 모멘텀이 강하게 작용했다. 최근 알테오젠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에 편입됐다. 여기에 미국 제약사 머크의 면역항암제인 '키트루다' 수혜 기대감도 일었다. 머크는 키트루다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허가받은 모든 적응증에 대해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머크는 알테오젠과 키트루다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독점 개발하기로 계약한 바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불발에 실망 매물이 출회되면서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던 HLB도 지난주 4.01% 오르며 반등에 성공했다. 파트너사인 항서제약과 FDA 미팅을 거친 후 허가 신청을 재진행한다는 계획을 밝히면서다. 2차전지 관련주에도 투심이 몰렸다. 유럽 중앙은행(ECB)과 캐나다 중앙은행이 선제적으로 통화정책 전환(피벗)에 나서면서 바이오와 2차전지 같은 성장주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지난주 에코프로(15.21%), 에코프로비엠(18.08%), 나노신소재(8.32%)가 일제히 빨간불을 켰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고금리 장기화로 부진했던 2차전지와 바이오 테마에 대한 투심 회복은 추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코스닥 시장에서는 반짝 테마주도 기승을 부렸다. 화성밸브는 한 주 간 19.57% 급등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경북 포항 영일만 지역에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자 매수세가 몰렸다. 강원에너지 등 관련 테마주도 15% 이상(15.15%) 올랐다. 배우 이정재 투자 소식에 '이정주 테마주'로 알려진 래몽래인 역시 이 기간 13.13% 상승했다.

코스닥ETF도 '고공행진'

코스닥 시장이 살아나면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상승세를 그렸다.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주 간 수익률 상위권에 코스닥글로벌 ETF가 포진했다. ‘TIGER 코스닥글로벌’이 9.01%, ‘KODEX 코스닥글로벌’이 8.69% 상승해 국내 ETF 수익률 상위 2,3위를 차지했다. 이들 ETF는 알테오젠, 에코프로비엠 등을 큰 비중으로 편입하는 코스닥글로벌지수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코스닥 대표 우량 기업으로 구성됐다.

코스닥에 상장된 바이오·2차전지주가 급등하면서 관련 ETF도 수익률이 크게 올라갔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에 투자하는 ‘TIGER 2차전지 TOP10’은 최근 1주 간 7.99% 상승했다. 또다른 2차전지 ETF인 ‘KBSTAR 2차전지액티브’도 7.69% 상승했다. 에코프로, 엔켐, 대주전자재료 등 코스닥 시장에 편입된 종목에 다수 투자한다. 이외에도 코스닥150 구성 종목 가운데 바이오 테마에 투자하는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도 최근 1주 간 6.14% 뛰었다.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 역시 반등했다. ‘SOL 코스닥150(4,14%)’, ‘KOSEF 코스닥150(4.06%)’ 모두 4% 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코스닥 시장의 추가적인 상승을 점치고 있다. 김종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ASCO 2024’ 이후 바이오 랠리, 낙폭이 과대했던 2차전지 반등, 반도체 소부장 상승까지 이어진다면 수익률 꼴찌였던 코스닥의 선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코스피처럼 밸류업이 가능하다는 시각도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윤석열 정부가 주식시장을 부양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개인 투자자가 많은 코스닥 시장에 추가적인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