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금 캘 곳 없소"…금광업계, 金 찾아 삼만리 [원자재 포커스]

러시아의 금 생산업체에서 한 근로자가 99.99% 순도의 금을 통에 쏟아붓고 있는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적으로 금 매장지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금광 업계가 금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미국 CNBC 방송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BC에 따르면 세계금협회(WGC)의 존 리드 수석 애널리스트는 "올해 1분기 금 생산량이 작년 동기 대비 4%가 늘어나는 등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다"며 "하지만 금 생산을 보다 큰 그림으로 보면 2018년께 정체됐고, 그 이후 성장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업계가 2008년 이후 10년 정도 급격한 성장 이후 정체되자 생산 증가세를 유지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국제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금 생산량은 전년 대비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7%, 1.35% 증가했으나 2020년에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1% 줄었다.

특히 금 채굴은 자본 집약적인 데다 상당한 탐사와 개발이 필요해 실제 생산이 이뤄질 때까지 평균 10∼20년이 소요된다. 게다가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매장지 가운데서도 실제로 채굴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10% 정도에 불과하다.현재까지 대부분 중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의 광산에서 18만7천메트릭톤(mt) 정도의 금이 채굴됐으며, 미 지질조사국(USGS)은 현재 채굴이 가능한 금 매장량은 약 5만7천mt 정도로 추정했다.

이처럼 힘든 탐사 과정 이외에도 금 채굴에 대한 정부 허가가 갈수록 까다로워지는 데다 그만큼 시간도 오래 걸려서 금광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리드 애널리스트는 전했다.
금값은 지난 10년 동안 가파르게 상승했다. /트레이딩이코노믹스 홈페이지
이에 더해 많은 채굴프로젝트가 도로, 전력, 수도 등 인프라가 필요한 외딴 지역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광산을 건설하고 운영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게 된다고 그는 덧붙였다.금값은 최근 몇 달간 중국 내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금 현물 가격은 10일 오후 10시 기준 1트로이온스당 23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