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등으로 미술사를 뒤집은 뉴요커, 댄 플래빈 '빛에 대한 헌사'
입력
수정
[리뷰] 쿤스트뮤지엄 바젤의 댄 플래빈 회고전193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만국박람회. 태양처럼 빛나는 2500개의 불빛이 떠올랐다. 사람들의 눈은 휘둥그레졌다. 그 빛나던 태양들은 형광등.
1960년대 형광등으로 독보적 예술 세계 구축
팝아트와 미니멀 아트의 천재적 결합
"이것은 조각도 회화도 아닌, 상황의 예술이다"
공간을 캔버스 삼아 몽환적 즉각적 무드 연출
1954년 한국 파병 당시 처음 미술 공부
뉴욕 돌아가 미술사와 회화 배워 27세에 데뷔
인류가 어둠 속에서도 반짝거리는 '형광체'를 발견한 게 1674년이었으니, 형광등이 대량생산 된 건 무려 260여 년이 지난 뒤의 일이다. 제너럴일렉트릭(GE)이 주도한 형광등의 대중화는 세계인의 삶을 바꿨다. 캄캄한 밤에도, 어스름한 새벽에도 대낮처럼 일할 수 있게 됐다. 어쩌면 형광등의 발명은 산업혁명의 결정적 순간 중 하나다. 무한히 빛날 것만 같았던 형광등도, 시간이 지나며 별것 아닌 존재가 됐다. 공장과 사무실은 물론 집집마다 새하얀 불빛이 원하는 때 언제든 흘러나올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하찮은 존재가 돼버린 형광등에 다시 한번 영광의 순간을 선사한 이가 있다. 강렬한 색이 주도하던 1960년대 미술계를 빛으로 전복시킨 미니멀 아트의 선구자, 댄 플래빈(1933-1996)이다. 그의 대규모 회고전을 스위스 바젤의 쿤스트뮤지엄 바젤 노바우(Neubau)에서 최근 만났다. 아트바젤이 열리는 6월 '꼭 봐야할 전시 0번'으로 꼽힌 '댄 플래빈: 빛에 대한 헌신( Dedications in Lights)'에서다. 총 277점의 작품이 미술관 곳곳에 설치됐다. 미국 작가 플래빈은 1960년대 후반 대량생산된 형광등을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형광빛의 네온사인이 도시 곳곳을 야비하고 저속한 인공의 공간으로 만들고 있던 때, 그는 형광등이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색만을 추출해 3차원으로 옮겨왔다. 텅 비어있는 공간을 비추는 화사한 색들. 백색의 벽을 황금빛 형광등 하나가 사선으로 가르고, 수직의 붉은 빛을 공간의 모서리를 빛낸다. 이른바 '캔디 컬러'는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했다. 지금이야 현란한 영상 기술을 접목한 미디어 아트가 일반화 됐지만, 당시엔 우리가 알던 형광등의 본질을 뒤엎는 장면이었다. 대량생산되는 인공의 재료로, 절제된 배경을 채운 그의 예술 세계는 그 시기 유행하던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을 결합한 '천재적 융합'으로 평가받는다. 회색빛이 지배하는 전시장은 플래빈의 '기체 이미지'들로 가득했다. 파란색, 녹색, 빨간색, 분홍색, 노란색, 자외선과 네 가지 흰색 음영의 제한된 색들은 빛 하나가 공간 전체의 분위기를 어떻게 좌우할 수 있는 지를 증명한다. 얼핏 보면 지나치게 원초적이고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그의 작품들은 눈으로 마주했을 때 온전히 다른 감정을 불러온다. 어떤 장면에선 몽환적인 상황으로, 어떤 장면에선 명료한 도형으로 인식된다. 플래빈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조각'이나 '회화'로 규정하지 않고 '상황의 예술'이라 고집한 이유다. 전시 공간들을 홀리듯 따라가고 있을 즈음, 예술가로서의 플래빈을 환기할 수 있는 장면이 펼쳐진다. '형광등 작가'로만 알려졌던 그의 초기 초상화와 풍경화, 스케치와 다이어그램 등의 드로잉 작품과 노트를 보고 있으면 전통의 재료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한 사람이 시대의 변화에 맞춰 어떤 변화와 혁신을 꿈꿨는 지 알 수 있다. 언젠가 꺼져버릴 유한한 재료 형광등으로, 영원불멸할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고뇌가 담긴다. 뉴욕 태생의 플래빈은 미술 작업과 미술사 공부를 병행한 지적이고 감성적인 예술가였다. 27세가 되던 때 맨해튼 허드슨강 근처에 작업실을 마련했는데, 이 무렵 그의 노트에는 전기 조명을 활용한 작품 구상으로 가득 차있다. 튜브 안에 갇힌 빛들이 뿜어내는 색의 형상들은 공간을 비추면서 채우도록 정교하게 설계된다. 플래빈은 한국과의 인연도 깊다. 1954년 한국 오산의 제5 공군 부대에서 기상병으로 근무한 적이 있다. 그때 한국의 메릴랜드대 교류 프로그램으로 처음 미술을 공부했다. 1956년 뉴욕으로 돌아가 한스호프만미술학교와 뉴스쿨에서 미술사를, 컬럼비아대에서 회화와 드로잉을 공부한 그는 본격적으로 작업 활동에 매진했다. 형광등으로 공간을 뒤엎는 시각적인 유희를 보여준 그는 기존 예술의 금기를 깨뜨리고, 산업사회를 정직하게 반영하는 동시에 우아하고 신비로운 빛으로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훌쩍 뛰어넘었다. 현대미술의 영역을 공간 전체로 확장하는 데 기여한 인물이라는 평가가 따라오는 배경이다. 그에게 형광등은 빛 그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모서리와 벽면에 형광등을 배치하면서 제목을 '무제'로 하거나 그의 친구 이름(재스퍼 존스, 솔 르윗, 도널드 저드)을 집어넣었다. 때론 베트남 전쟁에 대한 노골적 반대를 표현한 '매복 중 사망한 사람들을 위한 기념비4-나에게 죽음을 상기시켜준 P.K.에게-같은 제목도 남겼다. 아름답고 서정적이기만한 시각적 환희에 상반되는 타이틀을 부여한 셈이다. 그리고 그는 이렇게 말했다.
"빛은 그 자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이 모든 것은 명확하다. 빛은 모두에게 열려 있으며, 누구에게나 분명하게 전달된다." 바젤=김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