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 사업장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강제보다는 자율로 가야
입력
수정
지면A31
정부가 내년부터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퇴직연금제도 도입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현재 2012년 7월 26일 이후 설립된 사업장에는 퇴직연금 도입이 의무화됐지만, 그 이전에 설립된 곳은 퇴직금이나 퇴직연금 중 하나만 시행하면 된다. 이런 탓에 제도가 시행된 지 20년이 됐지만 가입 사업장은 전체의 26.8%(2022년 말 기준)에 그친다. 정부는 관련 법을 개정해 내년부터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장에 우선 도입한 뒤 30인 이상~100인 미만은 법 시행 후 2년 이내, 상시근로자 5인 미만은 6년 이내로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문제는 제도 도입을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하는 중소·영세기업이 많다는 점이다. 퇴직연금은 사내에 적립하는 퇴직금과 달리 사용자가 퇴직급여 재원을 금융회사에 적립·운영하고 근로자 퇴직 시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지급한다. 유동성이 부족한 업체가 대량의 내부 기금을 갑자기 외부로 빼내면 차입금이 늘고, 위기 발생 시 대응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300인 이상 사업장 중 70.5%가 퇴직연금에 가입한 반면 5~9인 사업장의 도입률은 30.0%, 5인 미만 사업장은 11.9%에 머무는 배경이다. 이런 상황에 과태료 등 처벌 규정을 만들고 서둘러 강제하면 역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충분한 준비 기간을 두고 채찍보다는 당근으로 자율 도입을 유도해야 한다.
연금성을 강화하는 것도 과제다. 지금은 퇴직연금을 직장생활 중 주택 마련, 자녀의 결혼 비용 등으로 써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55세 이상이 돼 퇴직연금을 정상 수령할 때도 연금 방식 대신 일시금 지급을 택하는 비중이 92.9%로 압도적이다. 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이 2.1%에 불과해 국민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3대 노후보장 체계의 한 축으로 제대로 역할을 못 하는 주요인이다. 네덜란드, 싱가포르가 연금 수령을 강제하고 미국은 일시금 인출 시 중과세를 적용하는 사례를 참고해볼 만하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올해 40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수익률은 연평균 2.35%에 그쳐 ‘쥐꼬리’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선 빈약한 수익률 제고 방안 역시 필수다.
문제는 제도 도입을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하는 중소·영세기업이 많다는 점이다. 퇴직연금은 사내에 적립하는 퇴직금과 달리 사용자가 퇴직급여 재원을 금융회사에 적립·운영하고 근로자 퇴직 시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지급한다. 유동성이 부족한 업체가 대량의 내부 기금을 갑자기 외부로 빼내면 차입금이 늘고, 위기 발생 시 대응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300인 이상 사업장 중 70.5%가 퇴직연금에 가입한 반면 5~9인 사업장의 도입률은 30.0%, 5인 미만 사업장은 11.9%에 머무는 배경이다. 이런 상황에 과태료 등 처벌 규정을 만들고 서둘러 강제하면 역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충분한 준비 기간을 두고 채찍보다는 당근으로 자율 도입을 유도해야 한다.
연금성을 강화하는 것도 과제다. 지금은 퇴직연금을 직장생활 중 주택 마련, 자녀의 결혼 비용 등으로 써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55세 이상이 돼 퇴직연금을 정상 수령할 때도 연금 방식 대신 일시금 지급을 택하는 비중이 92.9%로 압도적이다. 퇴직연금의 소득대체율이 2.1%에 불과해 국민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3대 노후보장 체계의 한 축으로 제대로 역할을 못 하는 주요인이다. 네덜란드, 싱가포르가 연금 수령을 강제하고 미국은 일시금 인출 시 중과세를 적용하는 사례를 참고해볼 만하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올해 40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수익률은 연평균 2.35%에 그쳐 ‘쥐꼬리’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선 빈약한 수익률 제고 방안 역시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