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고리'된 알고리즘…가짜뉴스로 악성 정치팬덤 키웠다

알고리즘 지배사회
(3) 좌우 분열 조장하는 '정치 유튜버'

알고리즘 타고 구독자 급증
"尹, 나라 팔아""文, 간첩 조사"
자극적 영상 쏟아내기 경쟁
상위 채널 연간 후원금 수억원
양쪽 편 갈라 욕할수록 돈 돼

정치인도 방송 출연 '굽신'
규제·단속 의무 저버리고
그들만의 '공생관계' 만들어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광구를 일본에 주면서 포기하고 경북 포항 영일만을 챙기려는 것 같다.” (진보 성향 정치 유튜버) “(문재인 전 대통령의) 간첩죄 혐의로 사정기관이 수사에 착수했다.” (보수 성향 정치 유튜버)

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는 유튜버들이 한 발언이다. 사실로 확인된 내용이 아니고 간첩죄는 아직 고발만 된 상태지만 댓글 창에는 이 같은 의견에 동조하는 글이 무수히 달렸다.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정치 유튜버가 큰 인기를 끌면서 정치권 좌우 양극단 분열의 근본으로 지목되고 있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이런 영상을 누른 사람에게 비슷한 콘텐츠를 보여주고, 정치인 역시 이들을 규제하기보다 이들에게 편승하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짜뉴스’로 자라는 정치 유튜브

11일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 조사에 참여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 따르면 한국의 뉴스 이용자는 알고리즘에 의한 뉴스 추천 방식을 세계 평균(30%)보다 상대적으로 긍정 평가(37%)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6개국 중 한국보다 긍정평가 비율이 높은 곳은 브라질(46%)과 튀르키예(40%) 정도였다. 개인화된 뉴스(알고리즘 추천에 의한 뉴스피드)를 볼 때 중요한 정보를 놓치거나 반대되는 관점을 놓칠까 우려하는 비율은 세계 평균보다 낮았다. 기존 언론에 대한 불신과 정치 성향에 따른 콘텐츠 소비가 겹쳐 ‘알고리즘 추천 선호’ 경향을 갖게 됐다는 해석이다. 한국인의 이런 성향은 ‘정치 유튜버’가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추천 수와 구독자가 많아질수록 채널 노출 빈도를 늘려주고 유튜버 수익을 올리는 구조다. 유튜버들이 사회적 혐오와 극단주의를 담은 자극적인 영상으로 조회 수를 늘리는 이유다. 정치에 관심이 많은 국민은 편향된 정보를 담은 콘텐츠에 더 열광한다.유튜브 채널 분석 업체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해 슈퍼챗(후원 시스템) 상위 30개 유튜브 채널 중 7개가 정치 유튜브로 나타났다. 해당 채널이 지난해 슈퍼챗으로 받은 후원금은 평균 2억5007만원에 달했다. 문제는 유튜브 이용자가 알고리즘에 따라 시청하고 싶은 것과 듣고 싶은 것만 주로 본다는 점이다. 기존에 시청한 내용과 비슷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유튜브 알고리즘 특성상 이용자는 유사한 콘텐츠를 반복해 접한다. 또 유튜버는 유튜버 간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말초적인 정치 의혹을 구독자에게 던지려는 유혹에 쉽게 빠진다. 이 과정에서 기존 언론 보도보다 유튜버 말을 진실로 믿는 일도 생긴다. 하지만 유튜브는 방송이 아니라 ‘정보통신’ 콘텐츠로 분류돼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제재가 어렵다.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유튜브 특성상 검증하거나 신뢰할 만한 취재 과정을 거치지 않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튜버·정치인 공생관계 계속”

정치 유튜버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에 편승하는 정치인도 늘고 있다.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인과 총선 출마를 계획한 예비 정치인이 여야 구분 없이 앞다퉈 대형 정치 유튜버 채널에 출연했다. 구독자 99만8000명을 보유한 진보 성향 유튜브 채널 ‘새날’에는 전현희·최민희·김현·이정헌 등 당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후보가 나왔다. 구독자 89만5000명의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이봉규TV’에는 김소연·조광한·유낙준·조상규 등 예비후보가 출연했다.총선 직전인 4월 15일 민주당 여성 후보였던 이언주·안귀령·전현희 국회의원은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한 뒤 일제히 큰절을 올려 논란이 일었다. 이 중 이언주·전현희 후보는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이 방송은 구독자 162만 명, 누적 조회 수 5억 회에 육박하는 대형 채널이다.

가짜뉴스를 단속하고 대형 플랫폼 알고리즘을 규제해야 할 국회의원이 오히려 유튜브 채널과 ‘공생 관계’를 이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유튜버는 정치인을 팔아 돈을 벌고, 정치인은 팬덤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니 서로 이해관계가 맞는다”며 “보수와 진보 모두 양극단 성향의 국민을 상대로 분노를 부추기면서 돈을 벌고 있지만 현재로선 마땅히 해결책도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정치 편향 실험해보니…
'정치 편향' 시청자에 반대 성향 콘텐츠 추천 '0'

유튜브 같은 빅테크 플랫폼은 스스로 다양한 콘텐츠를 추천하려고 노력한다고 밝히지만 실제로는 정치 성향에 따라 ‘맞춤형 알고리즘’을 거듭해서 보여주는 데 그치고 있다. 보수 성향 시민은 진보 성향 콘텐츠를 접할 일이 거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지난 1~7일 한국경제신문이 스마트폰 공기계 3대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에서도 이 같은 ‘필터 버블’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었다. 보수·진보·중도 성향의 정치 콘텐츠 이용자로 설정하고 매일 2시간씩 1주일 동안 다양한 정치 콘텐츠를 소비한 결과, 유튜브는 이용자의 보수·진보 성향이 확실하다고 판단한 뒤에는 반대편 콘텐츠를 전혀 추천하지 않았다. 비슷비슷한 보수·진보 콘텐츠만 100개 이상 추천되고 그사이에 건강과 경제활동 등 교양 콘텐츠가 10~20% 추가되는 수준이었다.

첫 번째 기기에서는 보수 성향 이용자로 설정한 후 대표 보수 콘텐츠인 ‘진성호TV’와 ‘신의 한 수’ ‘김진의 돌직구쇼’ 등을 섭렵하며 좋아요·구독 등을 눌렀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구독을 누른 채널의 다른 콘텐츠를 추천하는 한편 보수 언론사에서 내보낸 관련 뉴스 등을 더 보겠느냐고 제안했다. 유튜브가 진보 성향 콘텐츠를 섞어서 추천한 것은 최초 30분 정도였고 이후에는 그런 콘텐츠는 완전히 없어졌다.

진보 성향 이용자로 설정해둔 두 번째 기기에서는 ‘김어준의 뉴스공장’ ‘열린공감TV’ ‘새날’ 채널을 구독하고 관련 콘텐츠를 열심히 봤다. 처음에는 같은 아이템을 보수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내용도 한두 번 추천하던 유튜브는 다섯 번째 진보 성향 콘텐츠를 클릭한 후에는 거의 모든 영상을 비슷한 내용으로 채웠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중도로 설정한 세 번째 기기였다. 처음에는 아이유 노래 모음 또는 비비의 ‘밤양갱’ 같은 음악 콘텐츠를 몇 번 검색했고, 이후 추천되는 중립적인 시사교양이나 과학 콘텐츠를 매일 10~15분간 시청한 뒤 정치 콘텐츠를 누르는 패턴을 반복했다.유튜브 알고리즘은 중도 성향 이용자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듯이 보였다. 주로 앞서 클릭한 영상 비중에 맞춰 다음 영상을 추천했다. 보수와 진보 콘텐츠를 함께 시청하자 추천 알고리즘도 둘을 섞어서 제시했다. 보수 콘텐츠를 좀 더 길게 본 날에는 보수 콘텐츠 비중을 높여서 추천하고, 진보 콘텐츠를 더 시청한 날에는 진보 콘텐츠 비중을 확연히 높였다. 유튜브는 이용자에게 다른 의견을 더 들어보라고 할 생각이 없고, 그저 이용자 성향을 파악하는 대로 반복해주는 것으로 보였다. ‘거울 속 거울’처럼 무한히 자기 복제식 피드가 이어졌다.

이상은/김동현 기자 se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