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배분案' 버린 국민연금, 더 다양한 자산 담는다

DEEP INSIGHT

'기준 포트폴리오' 도입

리츠·데이터센터 등 투자 수월해져
"수익률 1%P 올리면 고갈 6년 늦춰져"
국민연금이 2055년으로 예정된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연금개혁을 통해 가입자들이 내는 보험료율을 높이고, 지급액을 낮추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연금개혁안은 가입자 반발, 세대 간 갈등 등이 뒤엉키며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기금 운용 역량을 높이는 것이다. 더 많은 돈을 벌어들여 빠져나가는 보험료를 충당하는 것이다. 연금개혁이 정치권에서 공전 중이다 보니 국민연금 입장에서는 이 운용 역량을 높이는 게 시급한 과제가 됐다. 기금 운용 수익률을 1%포인트 높이면 기금 고갈 시기가 6년 정도 늦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국민연금이 운용 역량을 높이기 위해 최근 도입한 것이 기준 포트폴리오다.
기준 포트폴리오란 수익률과 위험군을 주식(위험자산), 채권(안전자산) 등 단순한 자산군의 조합으로 나타낸 자산 배분 방식이다. 향후 1800조원까지 늘어날 기금의 자산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입됐다. 기준 포트폴리오는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자산군별 칸막이를 낮춘 게 특징이다. 이를테면 채권 800억원과 주식 200억원을 팔고, 대신 채권 80%, 주식 20% 속성을 가진 1000억원어치 기업 인수금융에 투자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와 리츠(부동산 투자회사)처럼 부동산, 주식, 채권, 인프라 속성을 모두 가진 ‘회색지대’ 자산군에 쉽게 투자할 수 있다. 아직 대체투자에만 적용 중인 기준 포트폴리오를 주식과 채권 자산군으로 확대하면 투자 대상을 좀 더 탄력적으로 선정할 수 있을 전망이다.아울러 기준 포트폴리오 도입의 후속 조치로 국민연금 운용 방향이 ‘특정 자산군을 제외한 모든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다’는 네거티브(포괄주의) 규제 방식으로 전환할 것으로 관측된다. 현행 방식은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국민연금 규정상 허용된 자산에만 투자할 수 있다는 포지티브(열거주의) 규제 방식을 쓰고 있다.

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