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학과, AI·미래車 중심으로 개편"

한덕수 총리 "기술인재 육성"
자격증 등 취업 준비금 지원하고
기업 훈련 프로그램도 확대 예정
드론 조종하는 韓총리 1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고졸 인재 채용 엑스포’에서 충남드론항공고 부스를 찾은 한덕수 국무총리(가운데)가 드론 조종을 체험해보고 있다. 강은구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12일 ‘2024 대한민국 고졸 인재 채용 엑스포’에서 빠르게 변하는 산업 수요에 대비해 ‘미래형 고등학교 인재’를 집중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미래차 등 신기술을 중심으로 직업계고 학과를 개편하는 교육 개혁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한 총리는 “세계는 지금 복합 위기 속에서 기술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며 “산업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맞춤형 기술인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진단했다.이어 “정부는 AI, 미래차 등 신기술과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직업계고 학과를 개편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경쟁력이 부족한 학과를 반도체, 소프트웨어, 스마트 팩토리, AI 등 신산업 관련 학과로 개편하는 직업계고에 예산을 지원하는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부터 지금까지 1000여 개 학과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한 총리는 “현재 17개인 직업계 거점학교를 확대하고 고등학교 취업지원센터와 대학 일자리센터를 연계해 취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직업계고 학생들이 자격증 취득 등 역량 제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취업 준비금도 새롭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청년들이 직업계고에서 갈고닦은 실무 역량을 바탕으로 산업 현장에서 꼭 필요한 인재로 거듭나고 있다”며 “직업계고를 졸업한 청년 가운데 300인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한 총리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기업에서 훈련을 병행하는 아이디어도 제안했다. 그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1주일에 2~3일은 기업에서 훈련하고 월급도 받는 프로그램이 확산했으면 좋겠다”며 “학생들이 그 과정에서 기업인들의 훌륭한 모습을 보고 배우고 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