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허덕이는 미국인들…"이 주식 주목해야" 월가의 조언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여전히 미국 중앙은행(Fed)의 정책 목표인 2%를 크게 웃돌고 있다. 월가에서는 고물가로 미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데 신중해지면서 오히려 수혜를 볼 수 있는 소비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고물가에 소비주 '주목'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5월 CPI가 전년 동기 대비 3.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4월 CPI 상승률(3.4%)에 비해 소폭 내려갔지만,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케이트 맥셰인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최근 신용카드 연체 증가, 저축 수준 감소 등으로 미뤄볼 때 소비자 경제 전반에 약세의 징후가 나타났다"며 "저렴한 가격의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면서 성장 동력, 현금 흐름 등이 확보된 업체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고물가 수혜가 예상되는 대표적인 소비주 3개 사를 꼽았다. 콜게이트-팜올리브, 월마트,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 등이다. 콜게이트-팜올리브는 1806년 창립된 미국 생활용품 업체다. 치약, 칫솔 등 치아 관리 제품 외에도 세계 200여 개국에서 삼푸, 샤워젤, 데오드란트 등의 제품을 판매한다. 특히 치약의 경우 미국 시장에서 업계 1위를 차지하며 충성도가 높은 소비주로 꼽힌다. 콜게이트-팜올리브는 올해 들어서만 15.50% 상승했다. 골드만삭스는 현 주가보다 약 5%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봤다. 제프리스 역시 "고물가에도 소비 위축이 없는 대표적인 종목"이라고 봤다.월가에서는 월마트와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올해 월마트와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는 각각 24.88%, 40.99% 급등했다. LSEG가 추적한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은 이들 기업에 매수 등급을 부여했다. 향후 상승 여력 역시 월마트는 8.1%,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는 6%에 달할 것으로 봤다. 실제 크리스토퍼 호버스 JP모건 애널리스트는 최근 월마트의 투자 등급을 중립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세계 최대 창고형 할인 매장인 만큼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필수 소비재 등을 판매하고 있어서다.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는 코로나19 팬데믹 직격탄을 맞았던 업체 가운데 하나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호텔 등 숙박료나 항공권 등의 가격이 크게 오른 데 반해 크루즈 상품은 가격 변동폭이 크지 않아 오히려 수요가 늘고 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크루즈 여행 비용은 육지의 올-인클루시브 리조트보다 27% 저렴하다. 로얄 캐리비안 크루즈는 올해 초 '아이콘 오브 더 시즈' 등 초대형 선박들을 선보였다. 크기가 크면 선복량이 늘어 탑승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필수소비재 ETF도 대안 개별 소비주 종목 투자가 불안하다면 다양한 필수 소비재를 담은 상장지수펀드(ETF)도 투자할 만하다. 전문가들은 필수 소비재 중에서도 저가 구매가 가능한 제품을 판매하는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상품에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뱅가드 컨슈머 스테이플즈 인덱스 펀드(VDC)'는 4월 말 기준 비누, 세제 등을 판매하는 프록터 앤 겜블을 12.27%로 가장 많이 담고 있으며, 이외에도 창고형 할인 매장 코스트코 홀세일(10.05%), 월마트(7.96%) 등에 투자한다.

올해 들어서 5% 이상 오른 '컨슈머 스테플즈 셀렉트 섹터 SPDR 펀드(XLP), '피델리티 MSCI 컨슈머 스테이플즈 인덱스(FSTA)'도 고물가에 힘입어 추가로 주가가 오를 여지가 있다는 예상이다. 이들 ETF는 대표적인 필수 소비재로 꼽히는 담배 판매사 필립 모리스 인터내셔널과 펩시코, 코카콜라 등을 편입한다. 담배나 코카콜라, 펩시 등은 물가나 경기와 상관없이 소비자가 꾸준히 찾는 필수 소비재로 분류된다. 판매 가격을 높여도 수요가 위축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