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웹툰은…이용시간 1년 새 11.2% 급감

이슈 포커스

2022년 정점 후 성장 꺾여
K엔터 산업의 산실 '흔들'
한국을 대표하는 콘텐츠산업인 웹툰의 성장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기에 폭발적으로 늘어난 국내 웹툰 이용 시간이 감소세로 전환하며 가치사슬 전체가 흔들리는 모양새다. 국내 웹툰산업이 쪼그라들면 영화, 드라마 업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주요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웹툰,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시리즈, 카카오웹툰의 총이용시간(안드로이드 기준)은 2022년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고 있다. 월간 이용시간(4월 기준)이 올해 9949만4725시간으로 1년 전(1억1210만1581시간) 대비 11.2% 줄었다. 작년보다 감소폭(5.8%)이 크다.국내 웹툰 시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성장했다. 4대 웹툰 플랫폼의 월간 이용시간(4월 기준)은 2019년(9199만3557시간)에서 2022년까지 3년 동안 29.3% 증가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올 2월 내놓은 ‘2023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 보고서에서도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2022년 국내 웹툰산업 규모는 1조8290억원으로 전년보다 16.8% 커졌다.

웹툰 제작사 리얼드로우의 최상규 대표는 “네이버웹툰과 카카오페이지 등 국내 웹툰 플랫폼은 최근에도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이들 플랫폼에 웹툰을 공급하는 제작사의 매출은 시장이 정점이던 2022년부터 이미 줄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국내 전체 웹툰 제작사의 2022년 매출 규모를 7013억원으로 추정했다. 1년 전보다 5.5% 감소한 수치다.

업계에서는 웹툰산업 침체로 다양한 작품이 나오지 못하면 영화나 드라마 분야에도 불똥이 튈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해외에서 인기를 끈 한국 드라마 ‘무빙’ ‘마스크걸’ ‘스위트홈’ ‘지금 우리 학교는’ 등이 웹툰을 원작으로 제작됐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