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3명만 뉴스 믿어…한국인, 언론 신뢰도 하위권"
입력
수정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 '2024 디지털 뉴스 보고서' 발간
팬데믹·전쟁 등에 지친 세계인, '뉴스 선택적 회피' 경향 커져 TV와 인터넷,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접하는 뉴스 대부분이 '사실'이라고 믿는 한국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가 발간한 '2024 디지털 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언론 신뢰도는 31%로 집계됐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와 함께 올해 1∼2월 세계 47개 국가 및 지역에서 성인 9만4천9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에서는 '거의 항상 거의 모든 뉴스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1%에 그쳤다는 것이다.
이는 조사대상 47개 국가 및 지역 가운데 38위에 해당하며, 아시아·태평양 11개 국가·지역 중에선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전년도에 비해선 3%포인트 높고 2016년(22%)보다는 9%포인트가량 언론 신뢰도가 제고된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는 "경기둔화로 한국 언론의 (재정적)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뉴스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 심화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한국 20∼40대 인구는 TV와 신문 등 기성 매체는 물소셜미디어를 론 포함한 모든 플랫폼에서 뉴스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된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남·북미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의 47개 조사대상 국가 및 지역의 언론 신뢰도 평균치는 40%에 그쳤다. 대부분의 뉴스를 신뢰한다고 말한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핀란드(69%)였고, 가장 낮은 국가는 그리스(23%)와 헝가리(23%)였다. 보고서는 "신뢰점수가 낮은 국가 가운데 미국(32%), 아르헨티나(30%), 프랑스(31%) 등은 높은 수준의 다극화(polarization)와 정치·문화와 관련한 분열적 논쟁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보기 싫은 뉴스를 보지 않는 '선택적으로 회피'(selective news avoidance) 경향 역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였다.
보고서는 뉴스를 선택적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 혹은 자주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전년도보다 3%포인트 많은 39%로 집계됐고, 이는 2017년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높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 등 부정적 사건들에 대한 뉴스가 많았던 것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설명됐다.
과도한 정보에 따른 뉴스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9%로 지난 2019년(28%)보다 크게 늘었고, 이런 경향은 남성(34%)보다 여성(43%)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선 사람들이 온라인상에서 소비하는 뉴스에서 '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응답자의 66%가 조사 전 한 주 사이 뉴스가 담긴 짧은 형식의 영상물을 시청한 적이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런 영상물 대부분(72%)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됐고, 이를 제작한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봤다는 비율은 22%에 그쳤다.
온라인상의 가짜뉴스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응답자는 전체의 59%로 전년도보다 3%포인트 늘었다.
특히 올해 주요 선거가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미국 응답자들은 각각 81%와 72%가 이를 우려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2012년부터 매년 발간돼 온 디지털 뉴스 리포트는 세계 주요 국가 국민들의 디지털 뉴스 이용과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해왔다.
/연합뉴스
팬데믹·전쟁 등에 지친 세계인, '뉴스 선택적 회피' 경향 커져 TV와 인터넷,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접하는 뉴스 대부분이 '사실'이라고 믿는 한국인은 10명 중 3명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가 발간한 '2024 디지털 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언론 신뢰도는 31%로 집계됐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와 함께 올해 1∼2월 세계 47개 국가 및 지역에서 성인 9만4천9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에서는 '거의 항상 거의 모든 뉴스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1%에 그쳤다는 것이다.
이는 조사대상 47개 국가 및 지역 가운데 38위에 해당하며, 아시아·태평양 11개 국가·지역 중에선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전년도에 비해선 3%포인트 높고 2016년(22%)보다는 9%포인트가량 언론 신뢰도가 제고된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는 "경기둔화로 한국 언론의 (재정적)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뉴스에 대한 대중의 무관심 심화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한국 20∼40대 인구는 TV와 신문 등 기성 매체는 물소셜미디어를 론 포함한 모든 플랫폼에서 뉴스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에만 국한된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남·북미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의 47개 조사대상 국가 및 지역의 언론 신뢰도 평균치는 40%에 그쳤다. 대부분의 뉴스를 신뢰한다고 말한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핀란드(69%)였고, 가장 낮은 국가는 그리스(23%)와 헝가리(23%)였다. 보고서는 "신뢰점수가 낮은 국가 가운데 미국(32%), 아르헨티나(30%), 프랑스(31%) 등은 높은 수준의 다극화(polarization)와 정치·문화와 관련한 분열적 논쟁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보기 싫은 뉴스를 보지 않는 '선택적으로 회피'(selective news avoidance) 경향 역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였다.
보고서는 뉴스를 선택적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 혹은 자주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전년도보다 3%포인트 많은 39%로 집계됐고, 이는 2017년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높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 등 부정적 사건들에 대한 뉴스가 많았던 것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설명됐다.
과도한 정보에 따른 뉴스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9%로 지난 2019년(28%)보다 크게 늘었고, 이런 경향은 남성(34%)보다 여성(43%)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선 사람들이 온라인상에서 소비하는 뉴스에서 '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응답자의 66%가 조사 전 한 주 사이 뉴스가 담긴 짧은 형식의 영상물을 시청한 적이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런 영상물 대부분(72%)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비됐고, 이를 제작한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봤다는 비율은 22%에 그쳤다.
온라인상의 가짜뉴스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응답자는 전체의 59%로 전년도보다 3%포인트 늘었다.
특히 올해 주요 선거가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미국 응답자들은 각각 81%와 72%가 이를 우려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2012년부터 매년 발간돼 온 디지털 뉴스 리포트는 세계 주요 국가 국민들의 디지털 뉴스 이용과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해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