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조립 강자 엠플러스…'꿈의 배터리'로 영토 넓힌다
입력
수정
지면A14
김종성 대표의 도전 경영
턴키방식으로 공정시스템 공급
전고체 배터리 장비 美수출 추진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사진)는 17일 “배터리 시장이 커지면서 많은 회사가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지만 우리는 20년 이상 한 우물을 판 정통파”라고 자부심을 나타냈다. 김 대표는 삼성SDI에 근무할 당시 리튬이온 배터리 국산화를 이뤄낸 인물 중 한 명이다. 함께 근무한 동료들과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인 플라즈마디스플레이(PDP) 제작을 위한 초음파 스크라이빙 장비를 국산화하겠다고 결심한 뒤 2003년 엠플러스를 창업했다.

전기차 수요 감소 여파로 세계 배터리 시장이 정체기를 맞았지만 이 회사의 1분기 영업이익(29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세 배 이상 늘었다. 이젠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생산장비로 사업 영역을 넓혀 새 활로를 찾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것이다. 폭발 위험이 적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김 대표는 “전고체 배터리 핵심 공정 장비를 개발해 상용화를 앞뒀다”며 “올해 하반기 미국 전고체 배터리 개발 기업에 장비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