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배터리공장 긴급점검…화성 참사 터지자 '늦장 대응'
입력
수정
지면A31
화재 위험 경고에도 대비 미흡정부가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기 화성 화재 참사를 계기로 리튬을 다루는 1차전지 제조업체 긴급 점검에 나섰다. ‘늦장 대응’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사고가 ‘예견된 참사’라는 지적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이전부터 리튬 전지의 대규모 화재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이어졌음에도 대비를 소홀히 했다는 것이다.
'금속화재 소화기' 개발·도입도
기술기준 없이 1년 넘게 심사중
고용노동부는 주요 배터리 제조 사업장 100여 곳을 대상으로 화학물질 안전수칙 준수에 대한 긴급 현장지도를 한다고 27일 밝혔다. 고용부는 전국 지방노동청에 속한 산업안전보건 감독관을 배터리 제조업체에 파견하기로 했다. 해당 공장에서 위험물질 취급 방법과 안전수칙을 제대로 교육하는지 점검하고 리튬 보관·관리 적절성, 소화설비 설치, 대피훈련 실시 등을 들여다볼 계획이다.소방당국은 화성 화재 사고 이전 아리셀의 금속화재 위험성을 두 차례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성소방서 남양119안전센터는 이달 초 아리셀을 점검해 화재 위험이 높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소방서는 보고서에서 “아리셀 건물 위치가 연소 확대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음에도 아리셀에 대한 적극적 안전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소방당국이 리튬전지 화재 예방에 효과적인 ‘금속화재용 소화기’의 정식 도입을 늦춘 것도 이번 사건을 키운 요인으로 지목된다. 리튬전지 화재는 주변 전지 온도를 올려 연쇄 폭발을 일으키는 ‘열폭주’ 현상 때문에 일반 소화기와 물로는 진화하기 어렵다. 소방청은 지난해 3월 금속화재용 소화기 개발과 도입 기준을 행정예고하고도 1년 넘게 심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리튬과 같은 금속화재에 대한 소화기 형식승인과 기술 기준은 없다.
2022년 카카오 먹통 사태를 일으킨 경기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서 ‘금속 열폭주’가 발생한 후 국내에선 미인증 금속화재용 소화기가 ‘D급 소화기’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다. 일부 기업은 이를 구매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희원/김다빈 기자 to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