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알고보니 한국산 팬?…애마에 놀라운 비밀이
입력
수정

2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 리무진 제조사 아우루스모터스(이하 아우루스)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동차·오토바이 조립에 필요한 장비·부품을 최소 3400만 달러(468억3000여만원)어치 수입한 것으로 세관 기록에 나타났다.이 가운데 1550만 달러(213억5000여만원)는 한국 업체들에서 들여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밖에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이탈리아 등에서도 아우루스에 부품을 공급한 것으로 확인된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2월 이후로도 부품 수입은 이어졌다. 한국산 부품 500만 달러(68억8000여만원)어치를 비롯해 1600만 달러(220억4000여만원) 상당의 부품·장비를 아우루스는 수입했다. 다만 이는 대러시아 제재를 어긴 것이 아니다. 아우루스는 올해 2월에서야 미국 등의 대러시아 제재 대상기관 명단에 올랐다.
로이터는 러시아의 자동차 기술력을 상징하는 브랜드인 아우루스가 한국 등 해외 업체들에서 다량의 부품을 조달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러시아의 자동차 기술 자립력이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아우루스의 수입 부품들은 김정은이 주적이라고 부르는 한국에서 들여온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겠다는 러시아가 계속 서방 진영의 기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