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시선] 40년만 교체 日최고액권 인물은 '韓 경제침탈 주역'
입력
수정
대한제국 압박해 발행한 첫 지폐에 자기 얼굴 넣게 한 인물
새 지폐로 자동판매기 교체 등 경제효과 기대?…소상공인 부담 목소리 일본에서는 내달 새 지폐가 발행된다. 새 지폐는 1만엔(약 8만7천원)권과 5천엔권, 1천엔권 총 3종이다.
일본이 지폐 속 인물을 교체한 것은 지난 2004년이 마지막이었다.
당시에는 1천엔권과 5천엔권만 바꿨고 1만엔권 인물은 1984년 이후 40년 만에 교체된다. 그런데 새로 등장하는 지폐 인물 중 우리에게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는 이가 있다.
일본에서 가장 큰 지폐 단위인 1만엔권의 새 얼굴인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1840∼1931)다.
시부사와는 일본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를 거쳐 여러 기업의 설립에 관여해 '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제1국립은행, 도쿄가스 등 500여개 기업의 설립 및 육성에 관여했다.
하지만 시부사와는 한국에는 전혀 다른 인물로 기억된다.
그는 구한말 한반도에 철도를 부설하고 일제 강점기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 사장을 맡으며 경제 침탈에 앞장선 인물로 비판받고 있다. 특히 대한제국 시절 이권 침탈을 위해 한반도에서 첫 근대적 지폐 발행을 주도하고 스스로 지폐 속 주인공으로 등장해 한국에 치욕을 안겼다.
대한제국에서는 1902∼1904년 일본 제일은행의 지폐 1원, 5원, 10원권이 발행됐다.
이 세 종류 지폐 속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당시 제일은행 소유자였던 시부사와였다.
대한제국이 1901년 외국 돈의 유통 금지와 금본위 제도의 채택을 내용으로 하는 자주적 화폐 조례를 발표하자 일본 제일은행은 화폐를 발행할 것을 요구한 뒤 무력시위를 통해 대한제국이 이를 받아들이도록 했다.
시부사와 등 새 지폐 3종에 등장하는 인물은 2019년 아베 신조 정권에서 결정됐다.
당시에도 과거 한반도 침략의 역사를 대변하는 인물인 시부사와를 1만엔권 인물로 선정한 데 대해 아베 정권의 역사 수정주의가 반영됐을 뿐 아니라 일제 식민 지배를 받은 한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약 5년이 지나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일 관계도 지난 정부에서 지속한 경색 국면에서 벗어났지만, 일본 최고액권 지폐에 '한국 경제침탈 주역'이 버젓이 들어가는 것을 보면 과거사에 대한 양국 인식 차에는 여전히 상당한 '간극'이 있는 게 아니냐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한편, 일본 정부는 새 지폐 발행 이유로 위조 방지 등을 꼽고 있지만 내심 부수적인 경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기존 자동판매기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교체하는 수요가 생기면서 경기 부양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자동판매기와 ATM 등은 새 지폐를 인식할 수 없어서 새 기계로 교체해야 한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ATM 교체 등에 드는 비용을 약 1조6천억엔(약 13조9천억원)으로 추정하며 일본의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0.27%가량 끌어올리는 경제 효과가 있다고 추산했다.
이와 함께 고령층 등 개인이 집에 쌓아둔 현금인 '장롱 예금'이 밖으로 나와 소비와 투자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일본의 장롱 예금이 약 60조엔(약 52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런 현금이 물가나 금리의 상승, 신 지폐 발행 등의 요인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기대하는 이런 경제적 효과보다 새 지폐 발행에 따른 부담이 크다는 불만이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도 '페이페이'(PayPay) 등 간편결제 서비스가 이미 일반화한 상황에서 이런 긍정적인 효과는 오히려 한정적일 것이라는 지적이다.
세계적인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이미 한계에 몰린 상황에서 식당 주인 등 소상공인들이 자동판매기 교체 비용에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일부 식당은 자동판매기 교체를 위해 음식 가격을 인상하기도 했다. 새 지폐 발행의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기보다는 일본 국내외에서 비판과 지적이 잇따르는 모양새다.
/연합뉴스
새 지폐로 자동판매기 교체 등 경제효과 기대?…소상공인 부담 목소리 일본에서는 내달 새 지폐가 발행된다. 새 지폐는 1만엔(약 8만7천원)권과 5천엔권, 1천엔권 총 3종이다.
일본이 지폐 속 인물을 교체한 것은 지난 2004년이 마지막이었다.
당시에는 1천엔권과 5천엔권만 바꿨고 1만엔권 인물은 1984년 이후 40년 만에 교체된다. 그런데 새로 등장하는 지폐 인물 중 우리에게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는 이가 있다.
일본에서 가장 큰 지폐 단위인 1만엔권의 새 얼굴인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1840∼1931)다.
시부사와는 일본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를 거쳐 여러 기업의 설립에 관여해 '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제1국립은행, 도쿄가스 등 500여개 기업의 설립 및 육성에 관여했다.
하지만 시부사와는 한국에는 전혀 다른 인물로 기억된다.
그는 구한말 한반도에 철도를 부설하고 일제 강점기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 사장을 맡으며 경제 침탈에 앞장선 인물로 비판받고 있다. 특히 대한제국 시절 이권 침탈을 위해 한반도에서 첫 근대적 지폐 발행을 주도하고 스스로 지폐 속 주인공으로 등장해 한국에 치욕을 안겼다.
대한제국에서는 1902∼1904년 일본 제일은행의 지폐 1원, 5원, 10원권이 발행됐다.
이 세 종류 지폐 속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당시 제일은행 소유자였던 시부사와였다.
대한제국이 1901년 외국 돈의 유통 금지와 금본위 제도의 채택을 내용으로 하는 자주적 화폐 조례를 발표하자 일본 제일은행은 화폐를 발행할 것을 요구한 뒤 무력시위를 통해 대한제국이 이를 받아들이도록 했다.
시부사와 등 새 지폐 3종에 등장하는 인물은 2019년 아베 신조 정권에서 결정됐다.
당시에도 과거 한반도 침략의 역사를 대변하는 인물인 시부사와를 1만엔권 인물로 선정한 데 대해 아베 정권의 역사 수정주의가 반영됐을 뿐 아니라 일제 식민 지배를 받은 한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약 5년이 지나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일 관계도 지난 정부에서 지속한 경색 국면에서 벗어났지만, 일본 최고액권 지폐에 '한국 경제침탈 주역'이 버젓이 들어가는 것을 보면 과거사에 대한 양국 인식 차에는 여전히 상당한 '간극'이 있는 게 아니냐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한편, 일본 정부는 새 지폐 발행 이유로 위조 방지 등을 꼽고 있지만 내심 부수적인 경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기존 자동판매기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교체하는 수요가 생기면서 경기 부양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자동판매기와 ATM 등은 새 지폐를 인식할 수 없어서 새 기계로 교체해야 한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ATM 교체 등에 드는 비용을 약 1조6천억엔(약 13조9천억원)으로 추정하며 일본의 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0.27%가량 끌어올리는 경제 효과가 있다고 추산했다.
이와 함께 고령층 등 개인이 집에 쌓아둔 현금인 '장롱 예금'이 밖으로 나와 소비와 투자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일본의 장롱 예금이 약 60조엔(약 52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면서 이런 현금이 물가나 금리의 상승, 신 지폐 발행 등의 요인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기대하는 이런 경제적 효과보다 새 지폐 발행에 따른 부담이 크다는 불만이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도 '페이페이'(PayPay) 등 간편결제 서비스가 이미 일반화한 상황에서 이런 긍정적인 효과는 오히려 한정적일 것이라는 지적이다.
세계적인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이미 한계에 몰린 상황에서 식당 주인 등 소상공인들이 자동판매기 교체 비용에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일부 식당은 자동판매기 교체를 위해 음식 가격을 인상하기도 했다. 새 지폐 발행의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기보다는 일본 국내외에서 비판과 지적이 잇따르는 모양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