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10년' 딛고…서울 달동네, 아파트촌 대변신
입력
수정
지면A2
사직2구역 등 재개발 시동
한양성곽 '문화재 보호' 이유로
박원순 때부터 사업 10년 표류
서울시·조합, 사전협의 마치고
내달 정비계획 변경안 추진
'도시 벽화' 창신·숭인동도 속도
10년 만에 재개발 재지정 앞둬

이들 도심 인근 달동네에 다시 활기가 돌고 있다. 사직2구역은 서울시와 재개발 정비계획 사전 협의를 마치고 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창신·숭인은 2013년 재개발 구역 해제 이후 10여 년 만에 재지정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가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불필요한 도시 규제를 걷어낸 게 개발의 출발점이다.
◆사직2구역, 재개발 ‘탄력’
30일 업계에 따르면 사직2구역 재개발조합은 최근 조합원에게 서울시 도시재창조과와 사전 협의를 마친 정비계획 변경안을 문자로 안내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사직동 311의 10 일대 사직2구역(3만529㎡)은 지하 5층~지상 최고 13층, 579가구(공공임대 95가구)로 탈바꿈한다. 용적률을 당초보다 40%포인트 올린 216%를 적용한다. 층수를 1개 층 올리고 가구 수도 120가구 늘렸다. 조합은 설계안 조정 후 오는 8월 조합 총회에서 정비계획 변경안을 투표에 부칠 계획이다.
2021년 오세훈 시장이 취임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조합은 최근 서울시와 정비계획 변경을 위한 사전 협의를 마무리 지었다. 선교사 건물은 2년간 독립운동가 이회영 기념관으로 사용한 후 철거하기로 했다. 이곳은 경희궁과 맞닿아 있어 경관 보호를 목적으로 높이 제한이 걸려 있다. 조합은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희궁에서 보이지 않는 구간의 층수를 높이자고 제안해 서울시가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벽화 사업’ 창신·숭인, 28층 아파트로
지하철 1·6호선 동묘앞역 인근 창신동 23, 숭인동 56 일대(10만4853㎡)는 이달 열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재개발 정비계획을 다룰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주민에게 공개된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창신동 23 일대(6만2926㎡)는 최고 28층, 1038가구가 들어선다. 숭인동 56 일대(4만1904㎡)는 최고 26층, 974가구의 아파트 단지로 변모한다.창신·숭인 일대는 2007년 뉴타운으로 지정된 뒤 2013년 해제됐다. 이듬해 박 전 시장의 역점사업인 도시재생 선도 사업지로 결정됐다. 구역 내 높낮이 차가 최대 70m에 달하고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 비중이 90%를 넘는다. 서울시는 노후 상하수도 교체, 벽화 사업 등 보존에만 초점을 맞췄다. 2022년 이곳이 오 시장의 역점사업인 신속통합기획 1차 대상지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급경사지인 점을 고려해 내·외부를 오가는 입체보행로와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박진우/한명현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