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은 나에게 행운" ... 60대가 되어서야 쉽게 작업하는 법을 깨닫다
입력
수정
서울 용산구 페이스갤러리
오카자키 겐지로 개인전 8월 17일까지

얼굴에 미소를 띈 한 노년의 작가가 손에 지팡이를 쥔 채 관객들 앞에 섰다. 뇌경색을 '행운'이라 칭한 그는 오카자키 겐지로. 그는 일본을 대표하는 조형미술 작가로, 코헤이 나와 등 일본 유명 작가들이 '가장 존경하는 작가'로 꼽는 인물 중 하나다.
그가 서울 용산구 페이스갤러리에서 개인전 '폼 앳 나우 앤드 레이터'를 열고 한국 관객을 찾아왔다. 겐지로가 국내에서 개인전을 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1980년대부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며 작품활동을 펼쳤다. 회화, 조각 등 순수 미술의 틀을 깨고 파격적인 시도를 계속했다. 건축과 조경, 퍼포먼스에서부터 로봇 공학까지, 여러 학문과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기도 했다.

겐지로의 예술 인생은 그 날을 기점으로 완벽하게 달라졌다. 회복과 재활에 전념하며 빨리 완성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한 작품을 가지고 고민하고 고뇌하며 오랜 시간을 보냈던 과거와 달리, 작업 속도는 15배나 빨라졌다.
겐지로는 "죽을 고비를 맞고 나서야 미래에 대한 불안이 쓸데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그 이후로 슬럼프라고 생각했던 것들도 별 게 아닌 일이 됐다"고 했다. 60대가 되어서야 '쉽게 작품활동을 하는 법'을 배우게 된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도 그가 얻은 깨달음을 풀어낸 작품들이 나왔다. 신작 페인팅과 점토 조각들을 선보인다. 전시의 주제도 철학적이다. 논어에서 '지금 앞으로'라는 주제를 따 왔다. 미래에 대한 고민을 내려놓으면 새로운 것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작품으로 모여있다고 해도 각 칸마다 시간 차이가 존재한다, 짧게는 몇 주, 길게는 한달 반까지도 시간의 차이가 난다. 겐지로는 "서양의 벽화도 하나하나 다른 스토리가 있듯, 나의 작품도 그렇다"며 "나는 그렇게 멀리 떨어진 시간을 붙이면서 새로운 시간을 창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