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한 대기업 고용 오히려 증가"
입력
수정
로봇의 노동 대체와 차이…2017~2021년 기업활동조사 분석 결과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인간 노동을 대체하기보다 오히려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낙일 서울시립대 경제학부 교수와 정소라 박사과정생은 2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발간한 '경제분석'에 게재한 논문 '우리나라 기업의 자동화 기술 도입이 고용량과 임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에서 이 같은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자들은 먼저 로봇의 노동 대체 효과를 확인했다.
이들은 통계청의 2017~2021년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로봇을 도입한 기업의 총종사자 수(고용량) 변화율이 로봇을 도입하지 않은 기업보다 약 2% 낮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실질임금 증가 유발 가능성은 통계적으로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분석 대상을 종사자 수 300인 이상의 대기업으로 좁히자 로봇 도입이 고용량에 미치는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생산성 향상 효과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로봇을 도입한 대기업의 고용량 변화율이 미도입 대기업보다 약 4.2% 낮았던 반면, 실질임금 변화율은 약 3.5%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다만, 인공지능의 경우 이를 도입한 대기업의 고용량 변화율이 그렇지 않은 대기업보다 약 1.6% 높았다.
로봇이 주로 생산 공정에 활용되는 데 반해 인공지능이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차이점 때문으로 해석됐다.
이는 머지않은 미래에 인공지능을 적용한 자동화 기술이 인간 고유의 직무나 직업을 대체할 수 있다는 통상의 우려와 정반대 결과로 볼 수도 있다. 연구자들은 "로봇의 노동 대체 효과는 확인되지만,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없었다"며 "오히려 인공지능의 고용 창출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이 로봇과 결합하더라도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효과는 생산 공정을 중심으로 주로 발생할 것"이라며 "고용 창출 효과가 여전히 발현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연구자들은 먼저 로봇의 노동 대체 효과를 확인했다.
이들은 통계청의 2017~2021년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로봇을 도입한 기업의 총종사자 수(고용량) 변화율이 로봇을 도입하지 않은 기업보다 약 2% 낮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실질임금 증가 유발 가능성은 통계적으로 명확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분석 대상을 종사자 수 300인 이상의 대기업으로 좁히자 로봇 도입이 고용량에 미치는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생산성 향상 효과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로봇을 도입한 대기업의 고용량 변화율이 미도입 대기업보다 약 4.2% 낮았던 반면, 실질임금 변화율은 약 3.5%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다만, 인공지능의 경우 이를 도입한 대기업의 고용량 변화율이 그렇지 않은 대기업보다 약 1.6% 높았다.
로봇이 주로 생산 공정에 활용되는 데 반해 인공지능이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차이점 때문으로 해석됐다.
이는 머지않은 미래에 인공지능을 적용한 자동화 기술이 인간 고유의 직무나 직업을 대체할 수 있다는 통상의 우려와 정반대 결과로 볼 수도 있다. 연구자들은 "로봇의 노동 대체 효과는 확인되지만,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없었다"며 "오히려 인공지능의 고용 창출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이 로봇과 결합하더라도 인공지능의 노동 대체 효과는 생산 공정을 중심으로 주로 발생할 것"이라며 "고용 창출 효과가 여전히 발현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