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 대상 해킹이 전체의 20.6%"
입력
수정
SK쉴더스 상반기 보안 트렌드 분석 세미나

이날 발표는 국내 최대 규모의 화이트해커 전문가 그룹인 SK쉴더스의 EQST(이큐스트)가 상반기에 직접 경험한 해킹 사고 사례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됐다.EQST의 분석 결과 가상자산 탈취, 딥페이크 해킹 공격 등이 2024년 상반기에 주목을 끌었다.올해 1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상사설망(VPN) 솔루션에서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피해를 입었다. 지난 2월에는 중국 정부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볼트 타이푼(Volt Typhoon)이 미국의 주요 인프라 내부망을 공격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월에는 오픈소스 XZ Utils에서 백도어가 발견됐다. 4월에는 LLM에 의해 작성된 악성 스크립트가 사용된 악성 메일 공격이 발생했다. 5월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플랫폼이 해킹돼 300억원의 가상자산을 도난 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네트워크 장비의 신규 취약점을 활용한 공격도 이어졌다. 작년 동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 외에도 보안 패치가 발표되었지만 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를 노린 1-Day 취약점을 악용하거나 합법적인 도구를 사용한 랜섬웨어 공격들이 발생했다.
생성형 AI가 급속도로 발전하며 AI가 가져올 수 있는 보안위협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비영리단체인 OWASP(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에서 발표한 AI LLM 서비스에서 발생 가능한 10가지의 취약점을 EQST가 직접 분석하고 이 중 위험도가 높은 3가지를 시연했다. ‘프롬프트 인젝션’(Prompt Injection)은 악의적인 질문을 통해 AI 서비스 내 적용된 지침 혹은 정책을 우회해 본 목적 이외의 답변을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악성코드 생성이나 마약 제조, 피싱 공격 등에 악용될 수 있다.
‘불안전한 출력 처리’도 취약한 단점이다. 이 취약점은 LLM이 생성한 출력물을 시스템이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2차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도가 높다. 예를 들어, 공격자가 원격 접속 코드 실행 요청이 포함된 내용을 챗봇에 질문하고 챗봇이 원격 접속 코드를 실행하게 되면 공격자가 AI LLM 운영 서버에 접속하게 되어 중요 정보를 탈취할 수 있게 되는 식이다.
이어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권한 관리 미흡으로 생길 수 있는 ‘민감 정보 노출’ 취약점을 분석하며 DB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을 시연했다. LLM 모델을 학습시킬 때 민감 정보 필터링이 미흡한 경우 LLM이 생성하는 답변에 학습된 민감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에 가명 처리를 하거나 데이터를 검증하는 등의 추가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이에 SK쉴더스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서비스의 변화에 발맞춰 AI 모의해킹부터 연계 보안 서비스까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LM 인프라의 경우 서버, 모델 저장소, 플러그인 등 일반적인 웹 서버의 구성보다 훨씬 복잡하기 때문에 고객 환경에 맞춘 보안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SK쉴더스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취약점 점검, 모의해킹을 수행하며 보안 수준을 높여온 경험을 바탕으로 AI 인프라 운영에 특화된 제로 트러스트 환경 구축 및 운영 체계 수립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기업에서 SBOM(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 등을 활용해 보안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는 등의 전략을 선보일 예정이다.김병무 SK쉴더스 부사장은 “전 산업 분야에 AI 기술 접목이 확산되면서 이를 노린 보안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며 “SK쉴더스는 선제적으로 보안 트렌드 변화에 발맞춘 연구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공개하며 생성형 AI 시대의 보안 전략을 제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